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미령-
dc.contributor.other성주인-
dc.contributor.other심재헌-
dc.contributor.other서형주-
dc.date.accessioned2021-02-18T16:40:01Z-
dc.date.available2021-02-18T16:40:01Z-
dc.date.issued2021-01-15-
dc.identifier.isbn979-11-6149-467-8-
dc.identifier.otherP26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6005-
dc.description.abstract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예산 집행을 위해서는 지역의 실태를 진단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다년간 지역 진단의 근거 및 정책의 성과 파악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2009년부터는 전국 시·군을 중심으로 지역의 발전 정도와 잠재 역량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지역발전지수를 발표하고 있다.2020 지역발전지수는 기존 지역발전지수의 큰 틀을 유지하되 가중치 및 활용 데이터 등을 개선·보완하였다. 정부의 공식 통계를 바탕으로 삶터(생활서비스), 일터(지역경제력), 쉼터(삶의 여유공간), 공동체의 터(주민활력)의 4개 영역별 지수와 영역별 지수의 종합으로서 지역발전지수를 분석하였다. 지역발전지수를 통해 지역의 여건과 특성을 분석하고 지난 지역발전지수와 비교하여 지역 발전의 변화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지방소멸위험지수의 대척점에 있는 개념으로 지역의 인구 성장 잠재력을 측정할 수 있는 대안적 지수를 개발하고 긍정적인 측면에서의 지역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제2장 2020 지역발전지수 구상제3장 2020 지역발전지수 분석 결과제4장 지역발전지수의 변화 비교·분석 - 지난 10년간의 지수 변동제5장 지역발전 특별지수: 지역재생잠재력지수-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2020 지역발전지수-
dc.typeKREI 보고서-
dc.relation.isPartOf2020 지역발전지수-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Files in This Item:
P265.pdf (7.88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