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우 | - |
dc.contributor.other | 주재창 | - |
dc.contributor.other | 하수안 | - |
dc.date.accessioned | 2021-05-12T16:40:01Z | - |
dc.date.available | 2021-05-12T16:40:01Z | - |
dc.date.issued | 2020-12-30 | - |
dc.identifier.isbn | 979-11-6149-479-1 | - |
dc.identifier.other | P268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6521 | - |
dc.description.abstract | 정부의 농산물 산지유통정책의 목표는 생산자조직화를 통해 소비지 시장에서의 거래교섭력을 높이고, 소득 증대를 통한 경영 안정을 이루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생산자조직의 역할이 전문화, 품질의 균일화, 마케팅을 넘어 수급관리까지 확대되고 있어 생산자조직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에 상응하는 농산물 유통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 연구가 시작되었다. 생산자조직의 역할 중 산지규모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품질제고 및 품질균일화, 생산전문화 및 영농환경 개선, 공동선별 및 공동계산 등의 역할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자조직의 자율적인 수급조절을 위해서는 계획생산이 필요하고, 수급정책 참여조직에 대한 정부지원, 교육 및 관측 정확성 제고도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자조직의 역할을 재정립하였으며, 주요 품목의 수급조절에 대한 경제 분석을 통해 수급관리 효과를 계측하였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농산물 산지유통정책 및 생산자조직의 변천과정 제3장 농산물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 및 역할 제4장 해외 선진국 생산자조직 육성정책 동향과 시사점 제5장 농산물 생산자조직의 수급조절에 따른 경제 효과 분석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제언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와 농산물 유통정책 개선 방안 연구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relation.isPartOf |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와 농산물 유통정책 개선 방안 연구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