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미령-
dc.contributor.other김광선-
dc.contributor.other구자춘-
dc.contributor.other정도채-
dc.contributor.other서형주-
dc.date.accessioned2021-05-25T16:40:01Z-
dc.date.available2021-05-25T16:40:01Z-
dc.date.issued2021-05-30-
dc.identifier.isbn979-115567-4819-
dc.identifier.otherC2021-1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66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의 각 세대별 행복 욕구 및 활동 욕구를 농산어촌에서 충족시킬 수 있도록 농산어촌의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 모델을 구축・확산할 수 있는 사업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우선, 100세 시대 도농상생의 전략의 중요성과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 모델이 갖는 의미를 정리하였다. 둘째, 농산어촌 유토피아 관련 관계인구 현황과 수요를 살펴보았다. 이전 연구에서 국민들의 버킷리스트를 조사했으나 금번 연구에서는 보다 핵심적으로 국민들의 도농상생, 농산어촌 유토피아 등과 관련되는 수요를 ‘관계인구’ 중심으로 조사함으로써 농산어촌에 대한 국민의 선호와 경험, 도시민의 농산어촌 관계맺음의 실태, 관계인구의 미래 정책 선호와 수요 등을 보다 선명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농산어촌 유토피아 관련 사업화 사례를 살펴보고 실천 모델을 유형화하였다. 넷째,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 모델의 사업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토피아 관련 지역 사례 및 협동연구기관이 제안하는 실천 모델 등의 다양한 유형을 종합하여 향후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현을 위한 구체적 사업화 방안 및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연구 개요제2장 100세 시대의 도래와 도농상생 전략의 의의제3장 농산어촌 유토피아 관련 관계인구 현황과 수요제4장 도농상생형 농산어촌 유토피아 사업화 사례 및 모델 유형화제5장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 모델의 사업화 방안 및 추진체계 구상제6장 요약 및 결론-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100세 시대,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연구-
dc.typeKREI 보고서-
dc.relation.isPartOf100세 시대, 도농상생의 농산어촌 유토피아 실천모델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C2021_10.pdf (44.99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