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석-
dc.contributor.other김상현-
dc.contributor.other김령임-
dc.date.accessioned2021-07-29T16:40:00Z-
dc.date.available2021-07-29T16:40:00Z-
dc.date.issued2021-07-29-
dc.identifier.otherE03-2021-0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6881-
dc.description.abstract이번 호에서는 USDA 농업전망 2030을 소개한다. USDA 농업전망의 총괄 부문과 농작물 부문을 다루었으며, 축산 등 다른 주요 부문들은 다음 호 세계농업에서 소개할 예정이다.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에서는 유럽의 농촌 유토피아에 대한 논의와 실천사례를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빌리지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 빌리지의 사례로 이탈리아의 페치올리 마을, 독일의 그라핑 마을, 프랑스의 무앙사르투 마을 등을 소개했는데, 이 마을들은 각각 쓰레기 매립지 활용, 승차 공유 벤치, 유기농 학교급식 등을 모델로 하여 스마트 빌리지로 성공한 사례들이다. 다시 말해, 농촌 안팎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농촌사회의 혁신을 이루어내고, 이를 통해 농촌 마을을 살고 싶은 생활공간으로 만들어 내는 사례에 대한 것이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에서는 코로나19 이후 푸드시스템에 나타난 변화를 진단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기존 푸드시스템을 둘러싼 여건 변화를 진단하고 여기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방안들을 강구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국가별 농업자료에서는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동향을 소개한다. 코로나19가 미국 농식품 부문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미국의 정책 프로그램들을 개관한다. 국제기구‧연구 동향에서는 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FAO 제42차 회의자료의 주요 논지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도 부가되어 있다. 21세기의 가장 큰 도전 가운데 하나는 ‘농업에 의한 환경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증가하는 사회의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인데, 지금의 농식품 체제로는 수요 충족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 전환은 디지털 기술과 혁신에 기반한 농식품 체제로의 전환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세계농업 전망: USDA 농업전망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2.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농촌 유토피아 유럽의 농촌 유토피아 논의와 실천사례 – 스마트 빌리지를 중심으로 3.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코로나19 이후 푸드시스템 코로나19 이후 푸드시스템(food system)의 미래 4. 국가별 농업자료: 미국 미국 농식품 분야 코로나19 대응 동향 5. 국제기구·연구 동향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 6. 국제 농업 정보 7. 세계 농업 브리핑-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세계농업] 제242호 (2021년 07월)-
dc.typeKREI 보고서-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월간) 세계농업 (S)
Files in This Item:
E03-2021-07.pdf (12.35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