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국승용 | - |
dc.contributor.other | 이형우 | - |
dc.contributor.other | 김원태 | - |
dc.contributor.other | 김종인 | - |
dc.contributor.other | 한은수 | - |
dc.contributor.other | 민경택 | - |
dc.date.accessioned | 2021-09-10T16:40:02Z | - |
dc.date.available | 2021-09-10T16:40:02Z | - |
dc.date.issued | 2021-09-10 | - |
dc.identifier.other | PRI084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7085 | - |
dc.description.abstract | (특징) 추석 성수기 축산물 제외한 농산물 수급 여건 전년 대비 개선 전망 • 짧은 장마 등 기상 여건 양호하여 주요 농산물 출하량 증가 전망 • 전년 대비 가격 한우고기·돼지고기·단감 상승, 사과·배·배추·무·햅쌀·밤 하락, 건대추 비슷 (축산물) 추석 성수기 한우고기·돼지고기 가격은 전년 대비 상승 전망 • 한우고기 전체 평균 도매가격은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상승한 21,000~22,000원/kg(지육) 내외 전망 •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가정 내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상승한 5,000∼5,200원/kg(탕박) 전망 (과일) 추석 성수기 사과·배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 단감은 상승 전망 • 사과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한 33,000~35,000원/5kg(상품) 내외 전망 • 배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한 28,000∼31,000원/7.5kg(상품) 전망 • 단감 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전년 대비 상승한 30,000~34,000원/10kg(상품) 전망 (채소) 추석 성수기 고랭지 배추·무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배추 가격은 전년 대비 48% 낮은 10kg당 13,000원 내외 전망 • 무 가격은 전년 대비 59% 낮은 20kg당 10,000원 내외 전망 (햅쌀) 조생종 벼 생산량 증가로 햅쌀 가격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추석 성수기 햅쌀 가격은 전년 대비 하락한 55,000원/20kg 내외 전망 (임산물) 밤 가격 출하량 증가로 전년보다 약간 하락 전망, 건대추는 전년과 비슷 • 밤 소비지가격은 전년보다 약간 낮은 6,000원/kg 내외 전망 • 건대추 소비지가격은 전년과 비슷한 18,000원/kg 전망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축산물(쇠고기·돼지고기) 2. 과일(사과·배·단감) 3. 배추·무 4. 햅쌀 5. 임산물(밤·대추)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21년 추석 성수기 주요 농축산물의 출하 및 가격 전망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dc.subject.keyword | 추석 농축산물 | - |
dc.subject.keyword | 농축산물 가격 | - |
PRI084.pdf
결과 데이터 / 525.59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