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국승용 | - |
dc.contributor.other | 한은수 | - |
dc.contributor.other | 김다정 | - |
dc.contributor.other | 한봉희 | - |
dc.contributor.other | 조남욱 | - |
dc.contributor.other | 홍승표 | - |
dc.date.accessioned | 2021-11-09T16:40:00Z | - |
dc.date.available | 2021-11-09T16:40:00Z | - |
dc.date.issued | 2021-11-09 | - |
dc.identifier.other | PRI087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7341 | - |
dc.description.abstract | 2021년 김장 수요 및 김장용 주요 김장채소류 소비량은 전년과 비슷 • 금년 김장 의향 소비자 조사 결과, ‘전년 대비 많이 담글 것이다’ 22.2%, ‘전년 대비 적게 담글 것이다’ 21.6% •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포기 수는 22.1포기로 전년 대비 0.8% 증가, 무는 1.1% 증가한 8.7개 • 가격 하락으로 건고추 소비량 전년 대비 2.5% 증가, 마늘은 가격 상승하여 1.1% 감소 2021년 김장 10월에 일부 시작, 11월 하순∼12월 상순에 김장하는 비율은 61.7%로 집중 • 11월 중순까지의 김장 비율은 27.4%로 전년(30.7%) 대비 낮은 편, 10월 기온 상승으로 일부 소비자는 김장 늦춰 • 김장 집중 시기인 11월 하순∼12월 상순의 비율은 전년(59.2%)과 비슷한 61.7% • 경기·강원지역은 11월 중순∼12월 상순에 김장하는 비율이 83.3%, 호남은 12월 상순에 김장하는 비율이 61.5% 2021년 김장 시기에 출하되는 가을배추·마늘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감소, 무·건고추는 증가 전망 • 김장철(11∼12월) 배추·마늘은 생산 및 재고량이 감소하여 가격 상승, 무·건고추는 생산량이 증가하여 가격 하락 • 전체 김장 비용에서 배추, 무, 건고추, 마늘이 차지하는 비율은 56.0%(평년), 품목별로는 배추 24.1%, 무 7.6% 2021년 가구 소비자 중 63.3%(전년 62.0%)는 김장을 하고, 26.0%(23.9%)는 시판김치 구매 • 시판김치 구매처는 ‘인터넷 또는 TV 홈쇼핑(45.9%)’, ‘대형유통업체(마트, 백화점 등)(25.1%)’ 등의 순 • ‘인터넷 또는 TV 홈쇼핑’ 구매는 전년 대비 3.0%p 증가, 일부(6.8%) 소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구매 선호 2021년 절임배추 구매 비율은 신선배추 대비 높고, 전년 대비 1.9%p 증가 • 금년 절임배추 구매 비율은 53.8%, 신선배추 40.8%, 절임배추와 신선배추를 같이 구매하는 비율은 5.5% • 김장 시기 수육용 돼지고기 구매 소비자 비율은 72.8%, 구매량은 전년과 비슷, 구매 부위는 삼겹살(40.3%)을 가장 선호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2021년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2. 2021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21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PRI087.pdf
결과 데이터 / 875.43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