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의식-
dc.contributor.other김미복-
dc.contributor.other김성우-
dc.contributor.other김정섭-
dc.contributor.other김태훈-
dc.contributor.other성주인-
dc.contributor.other성재훈-
dc.contributor.other엄진영-
dc.contributor.other우병준-
dc.contributor.other유찬희-
dc.contributor.other이명기-
dc.contributor.other임소영-
dc.contributor.other정도채-
dc.contributor.other황윤재-
dc.date.accessioned2022-04-15T16:40:07Z-
dc.date.available2022-04-15T16:40:07Z-
dc.date.issued2022-02-28-
dc.identifier.isbn979-11-6149-545-3-
dc.identifier.otherP27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8209-
dc.description.abstract저출산·고령화, 디지털경제, 코로나19, 탄소중립 등 급변하는 대외 여건에 대응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 위협 및 상대적으로 낮은 농촌 삶의 질을 극복하고자 정부는 농정 패러다임 전환과 농정 틀 전환을 추진해왔다. 농정 패러다임을 ‘생산주의 농정’에서 ‘다기능 농정’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농정 틀 전환의 다섯 가지 방향으로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정 구현, 살고 싶은 농어촌, 수급관리와 가격시스템 선진화, 더 신명 나고 더 스마트한 농어업, 푸드플랜으로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제시하고 추진하였다.그 결과 공익형 직불제 시행 및 확대·재편, 농업 재해 지원 및 대응 강화, 후계인력양성 및 영농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 강화 등 구체적인 농정 성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단계적 로드맵을 통한 농정 틀 전환의 실질적·지속적 추진, 농업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필요성 인식·참여 의지·공감대 형성, 커다란 여건 변화에 대한 농정의 적극적 대응 등이 제대로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성찰이 존재한다.본 연구는 농업·농촌의 대내외 여건하에서 농정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향후 농업·농촌·농정의 지향점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농정 전략 및 핵심 과제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농업·농촌의 대내외 여건 제2장 농정 틀 전환 추진과 성찰 제3장 농업·농촌·농정 지향점과 농정 전략 제4장 20대 핵심과제-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과 과제-
dc.typeKREI 보고서-
dc.relation.isPartOf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농정 과제-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Files in This Item:
P278.pdf (430.52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