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종인 | - |
dc.contributor.other | 김지연 | - |
dc.contributor.other | 유찬희 | - |
dc.date.accessioned | 2023-07-28T16:40:00Z | - |
dc.date.available | 2023-07-28T16:40:00Z | - |
dc.date.issued | 2023-07-28 | - |
dc.identifier.other | PRP001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0024 | - |
dc.description.abstract | 곡물 수급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대체 수입국 확보 등 대비 필요 • 흑해곡물협정 중단 직후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지속 의지와 세계 곡물 수급 개선 전망 등으로 국제 곡물 시장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후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기반 시설 파괴 등으로 불안정성이 고조됨. • 반면, 주요 곡물 수출국의 생산량 증가 전망 등은 국제 곡물 수급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함. • 우리나라는 non-GMO 식용 옥수수 등의 수입 비중 높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공급 차질 가능성 등에 대비할 필요가 있음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흑해곡물협정 중단 2. 우크라이나 대응과 국제 곡물 시장 현황 3. 국내 수입곡물 수급 영향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흑해곡물협정 중단이 곡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dc.subject.keyword | 흑해곡물협정 | - |
PRP001.pdf
결과 데이터 / 776.74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