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EU 중장기 농업 전망: 농산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진-
dc.date.accessioned2023-09-08T07:36:30Z-
dc.date.available2023-09-08T07:36:30Z-
dc.date.issued2022-03-29-
dc.identifier.otherE03-2022-03-0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0226-
dc.description.abstract이번 호의 세계농업 전망에서는 유럽집행위원회(EC)가 최근 발간한 2031년까지의 중장기 농업전망을 소개하였다. 밀, 옥수수, 유채, 대두, 사료, 설탕 등 일반작물과 올리브오일, 와인, 과일과 채소 등 특수작물로 나누어, 재배면적, 생산량, 소비량, 시장 가격, 교역량 등 다양한 정보를 그래프로 알기 쉽게 정리하였다. 가령 돼지고기 생산량 감소, 낙농 가축 감소로 인해 EU의 사료 수요는 2031년에 2021년 대비 4.1%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개요 2. 일반작물 2.1. 곡물(Cereals) 2.2. 유지작물(Oilseeds) 2.3. 유박(oilmeals)과 식물성 기름(vegetable oils) 2.4. 바이오연료(biofuels) 2.5. 단백질 작물(protein crops)과 쌀 2.6. 사료(feed) 2.7. 설탕(sugar) 3. 특수 작물 3.1. 개요 3.2. 올리브유(Olive oil) 3.3. 올리브유 – 주요 생산국가 중심 3.4. 식용 올리브 – 주요 생산국가 중심 3.5. 와인(Wine) 3.6. 과일과 채소 3.7. 가공 사과 – 주요 생산국가 중심-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EU 중장기 농업 전망: 농산물-
dc.typeKREI 논문-
dc.citation.endPage26-
dc.citation.startPage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page. 3 - 2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