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원태 | - |
dc.contributor.other | 정민국 | - |
dc.contributor.other | 박영구 | - |
dc.contributor.other | 박지원 | - |
dc.contributor.other | 남호진 | - |
dc.contributor.other | 노수정 | - |
dc.contributor.other | 김다정 | - |
dc.date.accessioned | 2023-09-08T07:36:32Z | - |
dc.date.available | 2023-09-08T07:36:32Z | - |
dc.date.issued | 2022-11-09 | - |
dc.identifier.other | PRI094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0231 | - |
dc.description.abstract | 2022년 가구 소비자 중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율은 증가하나 가구당 배추 구입량은 감소 전망 • KREI 소비자 패널의 김장 의향 조사결과, 금년 김장을 직접 담그는 비율은 65.1%로 전년(63.3%) 대비 증가 • 한편,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량은 21.8포기로 전년 대비 1.4% 감소, 무는 8.4개로 전년 대비 3.4% 감소 • 김장 의향 감소와 채소 가격 강세로 건고추 및 마늘의 가구당 구매 의향량은 전년 대비 각각 2.9%, 5.2% 감소 2022년 김장은 10월에 일부 시작, 11월 중순∼12월 상순 김장 비율이 74.6%로 집중. 금년 김장 다소 지연 전망 • 11월 상순까지 김장 비율 17.2%로 전년(20.6%) 대비 낮고, 이후 12월 상순까지의 비율은 전년(72.9%) 대비 높은 74.6% • 김장 비용이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김장하겠다는 소비자 의향 높아 김장 시기 전년 대비 지연 전망 2022년 김장배추 구매 형태별 비율은 절임배추(55.9%)가 절반 이상 • 절임배추 구매 비율 55.9%, 신선배추 40.4%, 신선배추와 절임배추 같이 구매하는 비율 3.8% • 2019년 이후 신선배추는 구매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절임배추는 증가 추세, 동시 구매 소비자도 절임배추 비율은 증가 2022년 김장철(11~12월)에 출하되는 가을배추·무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2022년 가을배추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4% 증가, 평년 수준인 126만 7천 톤, 가을무는 전년 수준, 평년 대비 1.8% 감소한 38만 5천 톤 전망 •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전년 가을배추 출하기 가격 및 금년 여름배추 가격이 높아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0%, 1.3% 증가, 단수는 무름병 등 병해 발생으로 작황이 부진하였던 전년 대비 8.2% 증가 • 가을무 재배면적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9%, 2.1% 증가, 단수는 뿌리혹병 등 병해 발생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 ※ 참고: 관계부처합동 2022년 김장재료 수급안정 대책 발표(10.28) 요약 안내(12p 참조)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2022년 소비자 김장 의향 2. 2022년 김장용 배추, 무 공급 전망 및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dc.subject.keyword | 김장 의향 | - |
dc.subject.keyword | 김장 배추 | - |
dc.subject.keyword | 김장 무 | - |
PRI094.pdf
결과 데이터 / 933.33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