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연-
dc.contributor.other윤종열-
dc.contributor.other김부영-
dc.contributor.other이승근-
dc.contributor.other조재성-
dc.contributor.other김용빈-
dc.date.accessioned2024-03-20T16:40:01Z-
dc.date.available2024-03-20T16:40:01Z-
dc.date.issued2023-12-30-
dc.identifier.isbn979-11-6149-667-2-
dc.identifier.otherR99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0891-
dc.description.abstract농업의 지속가능성과 미래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이 농업의 생산성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미비함.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성이라는 분석틀을 기반으로 한국 농업의 성장 및 변화를 살펴보고, 자본 축적과 농가경영인 연령과 같은 농가 특성이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음. 이를 위해 농업생산성 결정요인 및 농가 특성이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추계하고, 정량적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음.-
dc.description.abstractPurpose of Research ○ While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for the sustainability and future growth of agricultur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ctual impact of these policies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lacking. This study examines the growth and changes in Korean agriculture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analyzes the impact of farm characteristics such as capital accumulation and farmer age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To this end, we estimated the determinants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impact of farm characteristics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we suggested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based on a quantitative analysi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 제3장 한국의 농업생산성 제4장 농가특성에 따른 농가 단위 농업생산성 제5장 농업생산성 제고 관련 정책 동향 제6장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dc.title.alternativeMeasures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y Based on Farm Characteristics-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Jiyeon-
dc.subject.keyword농가특성-
dc.subject.keyword농업생산성-
dc.relation.isPartOf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