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대형산불의 증가, 진단과 과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현진 (isni=0000000084479282)-
dc.contributor.other정호근-
dc.date.accessioned2024-05-09T16:40:00Z-
dc.date.available2024-05-09T16:40:00Z-
dc.date.issued2024-05-09-
dc.identifier.otherPRP02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1031-
dc.description.abstract기후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대형산불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기술과 전략적 자원배치를 통합한 산불정보 시스템 구축 필요 • 한반도 기후변화로 인한 평균기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는 대형산불 발생 건수와 면적 증가로 이어짐. 기존 ‘4월의 강원도’로 알려진 대형산불은 전국화되고, 피해 규모 또한 커지고 있음. • 이에 대응하여 산림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예방 및 대응체계 개발과 함께 미국의 국립 통합 화재센터와 같은 통합 정보 공유 시스템을 도입하고, 효율적 자원배분을 통해 산불관리 효율을 극대화해야 함.-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기후변화와 산불 2. 대형산불의 증가 3. 향후 대응 방향-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대형산불의 증가, 진단과 과제-
dc.typeKREI 이슈리포트-
dc.subject.keyword대형산불-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이슈+ (J2)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