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강마야 | - |
dc.contributor.other | 박춘섭 | - |
dc.contributor.other | 이다겸 | - |
dc.date.accessioned | 2025-03-05T16:40:01Z | - |
dc.date.available | 2025-03-05T16:40:01Z | - |
dc.date.issued | 2024-12-30 | - |
dc.identifier.isbn | 979-11-6149-744-0 | - |
dc.identifier.other | D_R2024-17-1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1653 | - |
dc.description.abstract | 저출생·초고령화가 더욱 심화될 농촌 지역사회 안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관련 정책 요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책 전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 청년의 지역사회 활동 현황 제3장 농촌 청년과 마을 주민의 정책 수요 현황 제4장 농촌 청년정책 공급 현황 및 사례 검토 제5장 결론: 농촌 청년정책의 전환 방향 제안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subject.keyword | 저출생 | - |
dc.subject.keyword | 초고령화 | - |
dc.subject.keyword | 농촌정책 | - |
dc.relation.isPartOf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 | - |
D_R2024-17-1.pdf
결과 데이터 / 2.28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