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상효 (isni=0000000027634004) | - |
dc.contributor.other | 이기현 | - |
dc.contributor.other | 변지현 | - |
dc.date.accessioned | 2025-06-25T16:40:00Z | - |
dc.date.available | 2025-06-25T16:40:00Z | - |
dc.date.issued | 2025-06-25 | - |
dc.identifier.other | PRP037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2011 | - |
dc.description.abstract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농식품 부문 관세 조치가 예상됨에 따라,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 • 미국이 제기한 농업 이슈는 전략적 협상 카드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관련 쟁점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농업계의 우려를 반영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함. 특히, 다른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을 고려하여, 농업의 민감성이 충분히 고려되는 협상 전략 수립이 요구됨. • 다가올 한·미 간 제3차 기술 협상과 이후의 실무 통상협의에서 한국 농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설득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① 식량안보 최우선, ② 품목별 대응 방안 마련, ③ 농업 및 식품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수립이라는 세 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트럼프 2기 통상정책 전개 현황 2. 2차 무역협상에서의 농업 이슈 3. 시사점 및 대응 과제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 강화와 농업 부문 과제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PRP037.pdf
결과 데이터 / 1.09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