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2024년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의 정주만족도 조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린 (isni=0000000052601159)-
dc.contributor.other최현우-
dc.date.accessioned2025-07-02T16:40:00Z-
dc.date.available2025-07-02T16:40:00Z-
dc.date.issued2025-07-02-
dc.identifier.otherPRN22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2039-
dc.description.abstract농어촌 주민은 도시민과 비교해 거주 중인 지역에 대한 만족과 애착이 크지만 생활 여건은 더 열악한 것으로 평가 • 현재 거주 중인 지역에 대해 농어촌 주민이 평가한 행복감과 생활만족도는 도시민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역 소속감, 주민 교류도 더 높은 수준이었음. 그러나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적절히 영위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4차 삶의 질 기본계획’의 4대 부문(보건·복지, 교육·문화, 정주기반, 경제·일자리)별 만족도는 지난 10년간 도시에 비해 대체로 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농어촌의 보건·복지 부문은 중요도가 높음에도 만족도가 낮아 최우선적인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도시와의 격차도 좁혀지지 않고 있음. 교육·문화와 경제·일자리 영역은 보건·복지 부문과 비교해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만족 수준 역시 낮아 앞으로도 점진적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분류되었음. 정주기반은 4대 부문 중 농어촌 주민이 체감하는 만족도 점수가 가장 높고 상승세가 현저해, 개선보다는 유지·관리가 필요한 영역에 해당하였음. 특히 농어촌 주민 가운데 70대 이상 고령 농림어업인의 경우 삶의 질 4대 부문 중 정주기반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만족 수준이 가장 낮았음. 생활 여건이 취약한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면밀한 원인 분석을 통해 이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 지원이 요구됨. • 향후 이주 의향이 있는 농어촌 주민은 이주 의향이 없는 주민과 비교해 주민 간 교류 수준의 차이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지역에 대한 행복감과 생활만족도, 지역 소속감 모두 더 낮은 수준이었음. 농어촌 주민의 이주 희망 이유 중 도시민과 마찬가지로 꼽은 직장·일자리를 제외한다면, 교육, 의료서비스와 같은 필수적인 사회서비스 여건이 지적되었음. 반면 도시민은 주택 문제 해결, 자연친화적인 환경에 대한 선호 등이 주요하였음. 읍부와 비교해 면부 주민이 체감하는 생활 여건은 더욱 열악해, 농촌 내 격차의 고착화로 이어져 • 면부는 삶의 질 4대 부문(보건·복지, 교육·문화, 정주기반, 경제·일자리) 모두 읍부와 비교해 주민이 평가한 만족 수준이 낮았음. 이 같은 경향은 조사 시작 이후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됨. 이는 농어촌 안에서도 읍면에 따른 삶의 질 격차가 고착화되었음을 시사함. • 삶의 질 4대 부문을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보건·복지는 병·의원 및 약국 접근성, 진료과목 다양성, 분만 의료서비스 등 의료서비스에서, 교육·문화는 문화·여가 시설 및 프로그램과 같은 문화·여가 향유 기회에서, 정주기반은 대중교통, 기초 생활서비스, 생필품·식자재 구입 등 기본적인 정주 여건에 대해 면부가 더 낮은 만족 수준을 보임. 경제·일자리는 읍면 모두 만족도가 가장 떨어졌는데, 지역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 쉽지 않고, 다양한 일자리가 충분치 않으며, 일에 상응하는 소득 확보도 어려운 것으로 조사됨. 농어촌의 보다 취약한 인구 집단과 지역에 우선 초점을 맞춘 정책적 개입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증진해야 • 삶의 질 4대 부문을 중심으로, 농어촌의 더 취약한 집단인 고령 농림어업인과 면부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적 개선 노력이 요구됨. 이를 위해 열악한 서비스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와 ICT 기술의 활용, 지역 특성을 반영한 교육·문화 프로그램 확충, 주민 수요 맞춤 평생교육 확대, 공공서비스 거점시설 조성 및 교통서비스 연계, 지역맞춤형 모빌리티 프로그램 지원·개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농어촌 어메니티 기반 산업 육성,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원 확대 등의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음.-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의 정주만족도 조사 개요 2. 농어촌·도시 주민의 지역에 대한 인식 3. 삶의 질 4대 부문 만족도 도농 비교 4. 삶의 질 4대 부문 만족도 읍면 비교-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2024년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의 정주만족도 조사-
dc.typeKREI 이슈리포트-
dc.subject.keyword농어촌 삶의 질-
dc.subject.keyword정주만족도-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