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축산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영문 제목
Production and Marketing of Manufactured Livestock Manure Fertilizer from Government-Supported Plants
출판년도
1994-06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전업 및 기업규모의 축산의 등장으로 다량 발생하는 가축 분뇨는 환경 오염
유발과 처리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어 축산경영에 압박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일부
축산밀집지역에서는 축분 및 오수의 다량 발생과 효과적인 처리 및 이용 부진으로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퇴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가축 분뇨를 퇴비나 부산물비료의 원료로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
(2) 앞으로도 퇴비 및 부산물비료의 수요는 초지 및 사료작물 재배, 시설원예,
과수면적의 증대와 저공해농산물의 생산 증가로 매년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퇴비
및 액비의 이용과 부산물비료의 생산과 유통은 저조한 실정이다.
(3) 앞으로 가축 분뇨를 원료로 한 부산물비료 유통이 보다 활성화되면 양축농가들은
부산물비료 원료 판매수입 증대로 가축 분뇨 처리 또는 자원화시설에 소요되는 설치비
및 운영비의 상당부분 회수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가축 분뇨처리시설 설치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축 분뇨로 인한 환경 오염문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되는
계기가 마련하게 될것이다.
(4)이 연구의 목적은 가축 분료를 원료로 한 부산물비료의 생산과 유통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생산유통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각종 제도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으며, 1993년도에 이어 계속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 연구 내용
(1) 축분공동처리시설에서 처리된 분뇨 유통상의 문제점 파악
(2) 양축농가와 가축분뇨 공동처리시설에서 생산된 부산물비료의 유통판매체제구축을
위한 축분비료 유통센타 설립방안 검토
(3) 대규모 양축농가에서 발효건조 처리된 축분이 유기질비료로서 쉽게 판매 될 수
있도록 비료관리법 관계 규정 개정 방향 검토
(4) 기타 축분비료 생산 및 유통에 있어서 문제점과 개선 방향
3. 연구 방법
(1) 생산자단체 운영 축분처리시설에서 생산된 부산물비료 생산유통 현황 조사(경북
군위축협, 제주 남제주축협, 전북 양계조합)
(2) 문제점 및 개선사항의 체계적 정리
(3) 관련 법규 정리 및 검토
4. 지역별 유기질비료 생산·유통 현황 및 문제점

구분
경북
전북
남제주

공장명
군위축협
비료공장
전북양계조합
비료공장
남제주축협
유기질 비료공장

투입자금
16억 4천만원
-보조금 5억
-융자금 2억
-자담 9역 4천
15억
-보조금 5억5천
-융자금 2역
-자담 7억 5천
10억
-보조금 5역
-융자금 2억
-자담 3역

유기질비료
생산시작년도
93년 6월
91년 3월
93년 5월

분(뇨)처리 능력
돼지7만5천두
닭 10만수중
돼지 2만5천두
닭 1만수의
분뇨처리
대상농가
계분배설량
227톤중 100톤처리
돼지 2만두 42톤분중
1만2천두 25튼분처리

분처리과정
안정화처리
(톱밥)발효처리
안정화처리

투입인원
12명
14명
9명

유기질비료 원료
돈분+계 분+석회+활성오니
생계분+투압+제오라이트+수퍼
돈분+생석회+제오라이트

유기질비료 생산량
1일 1000포 생산
1일 2,500포생산가능
현재 960포 생산
1일 700포생산

생산원가
3,360원
2,590
3,410

판매가격
3,400원
(실제 3,000)
2,000
3,500

판매처
군청(조합)
농가
개별농가
-시설원예
-과수원,조경용
-약초재배
임업시험장
개별농가
-밀감재배
-화훼재배
-감자재배

판매시기
9,10.11월
-
11월(40%),9월(30%),2.3월

문제점
·재고문제
·중간상인의 유통시장잠식문제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생산으로
유기질 비료피해
·유통상의 어려움
·재고문제
·냄새 문제
·돈분수거가 어렵다

건의사항
·유기질비료의 차등제실시요구
·판매경로의 정비화
·비료연구에 대한 지원강화요구
·유기질비료의 홍보요구
·액비를 광범위하게 살포 가능하도록
살포기 차량지원 요구

5. 향후 추진과제
가. 유기질비료 생산업체 및 농가 확대조사 실시
(1) 축분 발효시설 : 왕궁 영농조합, 논산축협
(2) 개별농가 비료화시설 :정부 지원을 받은 허가 대상농가 10개소
나. 수요자 반응조사(경기지역)
다. 생산 활성화방안
(1) 생산규모 조정에 따른 문제점 타개방안
(2) 유기질비료 생산 손익 분기점 추정
(3) 정부 보조 및 융자정책
(4) 제도 개선
라. 유통 활성화 방안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보고서 번호
C1994-05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177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