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환-
dc.contributor.other이동필-
dc.contributor.other어명근-
dc.contributor.other최승익-
dc.contributor.other이병기-
dc.contributor.other김정연-
dc.contributor.other이상문-
dc.contributor.other박시현-
dc.contributor.other이상문-
dc.contributor.other황보종욱-
dc.contributor.other어명근-
dc.contributor.other박시현-
dc.contributor.other김정연-
dc.date.accessioned2018-11-15T07:41:56Z-
dc.date.available2018-11-21T01:19:35Z-
dc.date.issued1994-12-
dc.identifier.otherC1994-0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18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배경 및 목적1960년대부터 시작된 빠른 경제 성장과정에서 도농간 소득 및 생활환경의 격차가누적되고, 마을과 소도읍 단위로 분리된 채개별부문사업 위주로 분산·실시되고 있는농촌 개발투자의 비효율성등이 야기되면서 이에 대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농촌개발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농촌 중심도시와 배후 농촌마을을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한 농촌 정주생활권 단위를 새로운 농촌개발의 기본단위로삼아 이를 대상으로 산업·경제, 생활환경, 사회·복지, 문화·관광 등 제부문을종합연계하여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종합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해나가도록 하는 농어촌지역 종합개발정책이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면서 등장하게 되었다.그리하여 1985년부터 농어촌지역 종합개발정책이 정책화단계로 접어들게 되었다. 같은해에 공주, 청송, 강진의 3개 군을 대상으로 계획 수립의 정책 실험단계를 거쳐1986년부터 대상지역을 연차적으로 확대하여 오고 있으며, 1993년말 현재까지 103개군에 대한 종합개발계획이 수립되었거나 현재 추진중에 있다. 1993년도계획대상지역은 아직 계획이 미수립된 전국의 8개군이며, 당원에서는 이 중 아산군을대상으로 하여 현재 계획수럽을 추진중에 있다. 1990년 이후부터 군단위 계획은1990년에 공포된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에 근거를 두고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현재추진중에 있는 면단위 정주권 개발사업의 전제가 되고 있다.본계획의 목적은 2000년대를 향한 군단위 농어촌 장기발전을 전재로 지역여건과 특성,지역의 자원 잠재력 및 주민의 개발수요에 기초·하여. 그리고 계획기간중에 동원가능한 투자재원의 범위 속에서 산업경제, 생활환경, 사회복지, 관광·문화 등제부문의 사업들을 종합 연계하여 실천성 있는 지역 발전계획을 마련하는 데 있다.2. 계획의 범위와 추진절차(1) 계획의 범위(가) 시간적 범위 : 10개년을 계획기간으로 한다(1990년도 까지는 5개년 계획이었음)(나) 공간적 범위 : 농어촌의 실질적인 정주생활권 단위가 계획의 공간범위가 되나직접적인 개발투자의 대상은 해당 군의 행정구역으로 제한한다.(다) 개발대상사업 범위 : 계획의 대상지역에서 실시되는 모든 공공투자사업이포함된다. 이를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① 군 직접 시행사업② 도 및 중앙정부의 보조에 의한 군 시행사업③ 도 및 중앙청부 직접 시행사업④ 공공단체(농·수·축협)에 의한 각종 융자사업3. 계획 수립실적지금까지 총136개 군중 103개 군이 계획수립이 완료되었거나 현재 완료 단계에 있다.이 중 당원에서는 16개 군에 대한 개발계획을 수립하였고 1개 군은 현재 추진중에있다. 현재 추진중에 있는 1993년도 계획대상 지역인 아산군의 지역종합개발계획수립은 지난해 기본구상을 제시하였으며 부문별 개발계획은금년 5월 말까지 세부계획을마련하여 아산군 발전심의회의 심의와 계획 확정을 위한 도 심의를 요청할 계획으로있다.연도별 농어촌지역 종합개발 대상지역 및 계휙 수립기관연도지역계획수립기간계획기간1985(3개 지역)층남 공주, 전남 강진, 경북 청송KREI87∼91(5개년)1986(5개 지역)경기 파주, 강원 엉월, 층북 옥천, 전북 진안, 경남 함양농어촌진훙공사88∼92(5개년)1987(8개 지역)경기 가평,강원 힁성, 충북 음성, 충남 부여, 전북 장수, 전남 영광, 경북 의성, 경남 합천KREI(2개군 힁성,영광) 농어촌진흉공사(6개군)89∼93(5개년)1988(24개 지억)경기 : 양평,포천 강원 : 양양,평창 충북 : 영동 층남 : 금산,청양,당진 전븍 : 순창,고창 전남 : 진도,장홍,구례,고흥 경북 : 봉화,영덕,성주,청도,문경 경남 : 남해,산청,고성,밀양,함안KREI(3개군 고창,남해,구례) 농어촌진흥공사(21개군)90∼94(5개년)1989(24개 지역)경기 : 여주,강화,연천 강원 : 홍천,화천,인제 층북 : 진천,제원 층남 : 홍성,보령 전북 : 김제,부안 전남 : 곡성,보성,해남,완도 경븍 : 영양,금룽,안동,군위 경남 : 의령,사천,하동KREI(2개군 김제,군위) 농어촌진훙공사(22개군)91∼95(5개년)1990(12개 지역)경기 : 양주,김포 강원 : 삼척 층남 : 서천 층북 : 중원 전북 : 남원 전남 : 영암,나주 경북 : 상주,영풍 경남 : 창녕,거창KREI(2개군 중원,남원) 농어촌진훙공사(10개군)92∼96(5개년)1991(9개 지역)경기 : 남양주, 강원 : 원주 층북 : 청원, 충남 : 예산 전북 : 정읍, 전남 : 장성 경북 : 예천, 경남 : 진양 제주 : 남제주KREI(2개군 남양주,남제주) 농어촌진훙공사(7개군)93∼2002(10개년)1992(10개 지역)경기 : 광주,이천 강원 : 원주 충북 : 괴산, 층남 : 서산 전북 : 임실, 전남 : 함평 경북 : 고령, 울진 경남 : 울산KREI(2개군 광주,임실) 농어촌진흥공사(10개군)94∼2003(10개년)1993(8개 지역)경기 : 평택, 강원 : 명주 층북 : 보은, 전북 : 무주 전남 : 승주, 경북 : 달성 경남 : 창원KREI(1개군:충남 아산) 농어촌진훙공사(7개군)95∼2004(10개년)※총 136개군중 103개 군 계획 수립 (KREI:17개 군, 농어 촌진흥공사:86개 군)4. 계획의 주요 내용계획서에 수록될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1) 계획의 목표와 과제(가) 계획 수립의 배경과 내용계획의 배경/계획 수립의 범위와 내용/계획의 단계와 절차(나) 농촌지역 종합개발의 의의와 관련계획 분석종합개발의 의의 / 종합개발계획과 국가계획 / 종합개발계획과 지방계획(다) 지역 현황 분석일반 현황 / 지역인구 현황 / 지역경제 현황(라) 개발과 목표와 과제개발 수요물량과 주민의 개발의식 / 지역 발전 잠재력평가 / 지역 장기발전목표와 과제(2) 부문별 개발계획(가) 정주체계와 중심지 개발계획정주생활권의 공간구조 / 정주체계 설정 / 정주체게에 따른 중심지 개발계획(나) 지역 산업경제계획지역농업 개발·축산업 개발 / 산지·산림 개발·수산업 개발·광공업 개발(다) 생활환경 개발계획교통계획·통신계획 / 주택 개발계획 / 상하수도계획 / 쓰례기 처리계획·분뇨처리계획(라) 사회복지 개발계획지역교육 개발 / 지역의료 개발 / 사회복지 개발(마) 관광·문화 개발계획관광 개발의 의의와 계획의 목표 / 관광개발 현황 분석 / 개발의 기본구상 /관광권 조성 / 기반시설의 확충 / 지구별 계획 / 향토문화 진흥(3) 재정 투자계획(가) 투자 가용재원 추산재정 현황 / 투자 가용재원의 추산(나) 투자계획투자계획의 기본전제 / 투자계획5. 아산군 개발계획 수립기간 : 1993.6∼1994.56. 계획 수립결과의 활용본 계획은 군단위 장기발전계휙 수립의 기법과 모형 개발 등 농촌계획이론의 발전에기여함은 물론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기초자치단체인 군이 자기지역의 개발계획을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해 오고 있다. 동시에 본 계획서는향후 10년간 군정 수행의 지침서로 활용이 기대된다.-
dc.title아산군 농어촌지역종합개발계획-
dc.title.alternativeIntegrated Rural Development Plan for the Asan-Gun Area-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ng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ongphil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Eor, Myongk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Byungg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eongyo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i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Eor, Myongk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i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eongyoun-
dc.embargo.terms9999-12-31-
dc.embargo.liftdate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