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및 범위
제2장 농업경영분석의 의의와 선행연구
1.
농업경영분석의 의의
2.
선행연구와 최근 동향
제3장 농가의 장부기장과 분석방법
1.
기본전제와 분석단계
2.
농가의 장부기장
제4장 농업경영성과 분석 및 진단결과
1.
개요
2.
수도작 농가
3.
사과 농가
4.
양파 농가
5.
시설딸기 농가
6.
한우비육 농가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부록
1.
기장양식
2.
농가별, 결산기간별 재무제표
참고문헌
(1) 이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젊은(35세 미만) 영농후계자 중에서 유의선정한
농가들이 지난 2년 동안(1993/94) 매일매일 기장한 일계부를 근거로, 그들의 영농성과를
집계, 결산하고, 이를 분석·진단함으로서 농가들의 경영 개선과 이를 통한 농가들의
경쟁력 향상을 돕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 따라서 이 연구는 농가의 장부 기장과 관련된 부분과 이를 근거로 한 농업경영성과의
분석 및 진단과 관련된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농가의 기장은 Journal형식의 단식부기를
원칙으로 하되, 매년 한차례 작성하는 재산대장과 매일매일 기장하는 일계부로 구성되었으며,
일계부는 매월 그의 양식을 우송하고 기장된 장부를 되돌려 받는 월 단위의 기장점검방식을
택했다. 또한 모든 기장농가들이 동일한 양식과 기준 및 방법에 따라 기장해야 하기
때문에 기장교육과 아울러 농업경영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습득을 돕기 위한 교육이
병행되었고, 2~3차례의 농가방문을 통한 현장확인과 기장지도도 행해졌다. 다만 농가
스스로의 강한 기장의사가 성실하고 꾸준한 기장 여부를 좌우하기 때문에 기장농가의
선정에 있어서 이를 가장 우선했으며, 가능한 한 그 지역의 농업에 영향력을 가진
선진적인 청년농가들을 우선했다. 또한 농가들이 일계부를 기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2년 5월부터로서, 1992년도의 연구과제 “가족농의 경영분석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의 일환이었으며, 여기서는 1992년 5월부터의 농가기장도 분석대상에 함께 포함시켰다.
(3) 농가의 농업경영성과의 분석 및 진단은 모두 6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된 바, 농가
스스로에 의해서 매일매일 기장된 일계부는 항목별 및 계정별로 분류·집계·결산되어
농지·노동력·농기계 등의 영농자원 이용실적에 대한 집계표·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등의 결산서를 작성하고, 이들을 근거로 주요 경영지표들을 산출하여, 농가간의 비교를
통해서 평가·진단하여 취약점과 개선을 필요로 하는 부분들을 찾아내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제시하는 방식을 택했다. 또한 농가의 농업경영진단은 농가의 농업경영
전체를 대상으로 한 ‘농업경영 전체에 대한 분석’과 그의 각 부문을 대상으로 한
‘부문(작목)별 분석’으로 나누었으며, 이는 어떤 농가가 주력 작목을 바꾸거나 새로
추가하더라도 해당 작목에 대한 부분만 바꾸거나 추가함으로서 그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우리의 현실은 한 두가지 작목만을 전문화 한 농가들이 그렇게
일반화되어 있지 않고, 주력 작목 또한 비교적 자주 바뀌는 등 농업경영체 스스로의
경영구조와 방식이 안정적이지 못한 편이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또한 농가의 농업경영분석이
주력 작목이나 경영형태를 전혀 달리하는 농가들의 특성을 무시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각각의 작목과 경영형태에 적합한 농업경영분석의 방법과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도 그의 이유다. 그러나 각각의 작목과 경영유형에 대한 분석을 일거에 모두 시도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수도작, 과수, 노지채소, 시설채소,축산의 5개 분야에 대해서,
그리고 이들 분야에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도, 사과, 양파, 시설딸기,
한우 비육을 주력 작목으로 하고 있는 농가들의 농업경영성과를 분석·진단하는데
만족했다.
(4) 농가의 기장 성적
○ 1992년 4월에 62명으로 출발, 1993년 2월에 그 동안의 기장 실적이 극히 부진한
27명을 탈락시키고 20명을 추가로 선정, 55명으로 조정했었고, 1994년부터는 2개월
이상 기장이 중단된 농가들을 그때그때 탈락시킴으로서 1994년 12월까지 기장을 계속한
농가는 모두 12농가에 그쳤다.
○ 또한 지난 31개월 동안 (1992. 5~1994. 12.) 꾸준히 일계부를 기장해 온 농가는
3개 농가에 불과했고, 여기에 농가의 농업경영분석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영농주기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그 시기에 관계없이 같은 기간중 최소한 12개월(1년)
이상 꾸준히 기장한 9개 농가(한우 비육의 경우는 그의 주기를 필히 1년으로 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6개월 이상 계속해서 기장한 2개 농가를 포함함)를 포함시키더라도
모두 12개 농가에 그쳤고, 한 영농주기(1년)를 결산 단위로 한 농업경영분석이 가능한
것은 모두 20개 경우에 불과 했다.
(5) 농가의 농업경영성과의 집계/결산 및 분석/진단
○ 1994년 12월분 일계부가 1월 중순경까지 되돌아 오고, 일부 농가가 그보다 더
늦어짐으로서 집계와 분석이 일부 진행중에 있고, 그의 분석이 농가별 및 회계연도(혹은
영농연도)별로 행해 짐으로서 한가지 분석항목만도 그의 결과는 20개의 자료(혹은
지수)에 이르는 등 농가별 및 항목별 분석결과를 여기에 모두 밝히기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분석항목을 밝히는데 만족하고자 한다.
- 농가의 농업경영 전체에 대한 분석은 일계부로부터 얻어진 자료를 집계/결산함으로서
얻어진 농가별, 회계연도별 재무제표(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와 농작업 실적을
근거로 농업경영 전체에 대한, ① 수익성, ② 생산성, ③ 활동성, ④ 유동성/안전성,
⑤ 성장성, ⑥ 집약도, ⑦ 영농자원 이용률을 밝혀내고, 그의 농가간의 비교를 통한
경영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 부문(작목)별 분석은 농가의 특정부문(수도작, 사과, 양파, 시설딸기, 한우 비육)에
대한,① 수익성, ② 생산성, ③ 집약도, ④ 생산 원가를 밝혀내고 그의 농가간의
비교를 통한 경영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