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목적2
3. 주요 연구내용3
4. 연구
범위 및 방법3
5. 기대효과4
제2장 중국 농업구조와 유통정책 변화
1. 중국 농업구조
변화5
2. 중국 농업 여건 및 농산물 생산 8
3. 중국 농업 및 유통정책의
변화17
제3장 중국의 농산물시장
1. 농산물시장 및
유통체계26
2. 농산물 유통개혁 추진 현황33
제4장 중국의 농산물 유통체계
1. 유통환경의 변화와
유통다원화38
2. 산지의 생산 및 유통체계 41
3. 소비지
도매유통체계48
4. 소매유통체계61
제5장 상해시 청과물 유통체계
1. 상해시 청과물 유통체계
재편68
2. 상해시 청과물 도매유통76
3. 상해시 청과물
소매유통90
4. 상해시 청과물 산지유통99
제6장 요약 및 결론
1. 중국 농산물 유통체계 및
전망107
2. 상해시 농산물 유통체계 및 전망110
3.
시사점112
참고문헌116
요 약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화 정책 추진과 함께 농산물 유통정책과 관련 제도도 빠르게
바꾸어 나가고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농산물시장과 유통시설이 산지와 소비지에 건설되면서 유통체계가 급속도로 다원화되고 있다.
그러나 유통효율성, 거래제도, 유통시설 등의 측면에서는 낙후되고, 물류효율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 농산물의 국내시장 반입이 급증하고 있으며,
2001년 중국의 WTO가입으로 향후 국내 및 국제시장에서 중국 농산물과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
중국 농산물 유통 및 수출정책 수립을 위해서 중국의 농산물 유통체계에 대한 구체적인 관련자료의 수집·정리·분석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향후 우리나라 농업생산·유통·수출 분야 등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제시장에서 경쟁관계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중국 농산물의
전반적인 유통체계와 가장 선진적인 상해시 농산물유통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대 중국 농산물 유통연구 및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 중국 농산물 유통체계 실태 및 전망
중국 농산물 유통체계는 현재 유통주체 및 유통기구의 다양화, 유통경로의 다원화,
유통업태의 다양화, 상이한 유통조직과 각종 시장의 공존 등으로 전환기적인 복잡한 유통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은 상호 작용하여
보완과 경쟁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농산물 유통체계를 급속히 변화시키고 있다.
산지에서는 다양한 상인과 상인조직이 출현하고 있으며, 산지수집상과 같은
다양한 중간상인의 유통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다. 산지 유통시설은 전반적으로 부족하고 낙후되어 그 기능이 매우 미흡하지만, 소비지의
급격한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산지 유통시설이 확충되고 있다.
소비지의 경우 도매유통체계는 각종 도매시장의 난립으로 효율적인 유통체계가 확립되지
못하고 있으며, 규범적인 시장질서가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 도매시장의 기능은 거래 위주의 상적 기능으로 효율적인 물류기능은 수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시장정보의 흐름이나 교류가 지역간·시장간에 폐쇄적이다. 그러나 현재 대도시를 중심으로 도매시장 재정비작업에 착수하는 등 도매시장의
시설보완, 재배치 등과 함께 도매시장 건설·운영에 대한 규범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도매유통체계가 점진적으로 효율화되고
있다.
소매유통체계의 경우 중국 농산물 유통에서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부문이다.
개혁개방화 이후 1990년대 중반부터 외국 유통업체의 중국시장 진출과 함께 다양한 업태의 소매기구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들 신업태는
전통적인 소매기구와는 달리 선별·포장화된 농산물을 취급하고 거래방법에서 산지와 직접 계약을 통한 구매 등으로 현재 산지 및 소비지 유통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산물 물류는 수확 후 처리기술의 낙후성, 물류시설 부족 등으로 물류효율성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농산물이 수확 후 산지에서 원형농산물 형태로 소비지로 반출되고 있어 산지의 상품화와 고부가가치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산지 상인조직들을 중심으로 저장시설과 가공시설 및 상품화시설이 운영되고 있어 소비지 소매유통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있다. 향후 이들 조직의 산지 상품화 시설은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향후 중국의 농산물 유통체계는 산지포장센터, 도매시장, 집무시장 및 신유통업태를
축으로 하는 유통구조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농산물 시장정보, 품질표준체계, 검사체계 등이 빠르게 확립되고, 시장정보 서비스망도
구축될 것이다. 그러나 중·단기적으로는 지역 중심의 시장망과 유통체계가 일정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3. 상해시 농산물 유통체계 및 전망
상해시 농산물 유통체계는 현재 전통적인 유통체계와 현대화된 유통체계가 공존하면서
전통적인 유통체계가 선진 유통체계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전환기적 과정에 있다. 상해시의 경우 유통기구의 다양화와 분화, 유통경로의 다원화
등에서 중국에서 가장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산지유통체계는 산지수집·반출상 회사인 경기인 조직이 실질적인 유통주체이며, 생산자의
유통참여는 크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들 경기인 조직(회사)들이 현재 산지유통 기능을 대부분 수행하고 있으며, 유통시설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일부 전업농가 중심의 생산자의 임의조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향후 중국의 산지유통 주체는 한국과 일본과 같은 협동조합 형태가
아닌 경기인 조직과 일부 전업농 중심의 생산자 임의조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매단계의 경우 현재 상해시 도매시장은 거래기능 외 다른 기능은 매우 미약하며,
거래방법, 결제 시스템, 시장정보, 물류기능, 조성기능 등에서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상해시 도매시장 수는 약 330개소이며, 이 중 청과물
도매시장이 50여 개소로 시장이 난립하여 효율적 유통체계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해시는 제15차 5개년 계획에서 5개소의 중앙도매시장과
20개소의 산지도매시장을 축으로 하는 유통체계 개선의 시장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상해시 도매시장 재정비가 이루어지면 상해시 농산물 유통체계는
현대화된 도매시장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될 것으로 전망되며, 동시에 물류센터 등이 보완적 유통기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매 단계의 경우 재래시장인 집무시장 중심에서 현대적 유통기구인 슈퍼마켓, 할인점,
대형초시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소매유통은 대형 슈퍼마켓(할인점 포함)과 현대화된 집무시장이 중심적 유통기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4. 시사점
첫째, 중국의 농산물 유통구조가 현대화된 선진 유통체계로 진입하는 데는
향후 많은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의 발전 격차는 동부연안 대도시의 경우 10년 내외, 내륙 지역은 15년 내외 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유통구조 발전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한국과의 발전격차 기간을 중국농산물과 철저히 차별화하는 준비기간으로 충분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국에는 다양한 소득계층의 소비자가 있고 소비계층별 농산물 소비성향과
구매패턴이 매우 차이가 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의 특정 소비계층을 목표시장으로 설정하여 틈새시장 공략을 통한 중국농산물과 차별화된
고부가가치·고품질 농산물의 대중국 수출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현재 중국은 중앙정부와 함께 많은 지방정부가 지역의 유통체계 및 시장 재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제도 및 시설개선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따라서 농산물 공영도매시장 건설에서 하드웨어 측면과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풍부한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한국의 참여 및 진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중국은 1970년대 후반 실용주의의 등장에 따라 1979년부터 개혁개방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경제 전반에 걸친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로의 성공적인 이행을 가져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개방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북한의 농산물 생산 및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밴치마킹 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국제시장에서 한국의 농산물은 중국 농산물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농업과 농산물 유통에 대한 품목별, 지역별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Chinese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and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China
by analyzing whole Chinese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and that of Shanghai,
the most modernized city in China. The main topics of the study include changes
of agricultural structures in the whole China and Shanghai before and after
reform,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ing system, changes of
marketing policy, process of marketing reform, and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by marketing stages. The range of the study include the whole Chinese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and that of Shanghai.
The Chinese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has been formed as a
transitional and complicated one due to the diversity of marketing subjects and
institutions, diversification of marketing channels, diversities in marketing
businesses, different marketing institutions and coexistence of diverse markets.
It is expected that Chinese agricultural marketing in the future will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roducing field package center, wholesale markets,
local retail markets and new marketing business conditions. Also, marketing
related systems such as marketing information, quality standard, and inspection
will be fastly established, and market information service networks as
well.
There are several applications gained from this research. Firstly, we
must us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velopment of agricultural marketing
structure between China and Korea as opportunity to differentiat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Secondly, we must establish exporting strategies to
capture niche markets targeting Chinese high income class. Thirdly, we can
participate in constructing Chinese agricultural infrastructures. Lastly, It can
be applied as a benchmarking model for North Korean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