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환-
dc.contributor.other박동규-
dc.contributor.other서진교-
dc.contributor.other이병훈-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8:01Z-
dc.date.available2018-11-15T07:58:01Z-
dc.date.issued2003-07-
dc.identifier.otherW02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646-
dc.description.abstract○ 1960년대 이후 쌀 정책은 수매제도와 생산·가공지원시책을 두 개의 축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 쌀 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수입 확대와 농가소득 감소에 대응하기 위하여 논농업직불제와 소득보전직불제가 도입되었다.○ 2003년 현재 진행 중에 있는 DDA(Doha Development Agenda) 농업협상은 향후 쌀 농가소득 뿐만 아니라, 정책수단의 선택에도 지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04년에 예정되어있는 쌀관세화유예연장협상(이하 쌀재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DDA 및 쌀재협상 결과에 따라 나타나게 될 급격한 상황 변화를 고려하는 장기적 관점에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벼농업을 안정시키고, 벼 재배농가의 소득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1Ⅱ. DDA 농업협상과 2004년 쌀재협상 1. DDA 농업협상 일정 2 2. DDA 농업협상 의장초안(2003. 3) 검토 3 3. DDA 농업협상 전망 6 4. 2004년 쌀재협상의 성격 7 5. 관세화와 관세화유예간의 동등성 9 6. 협상대책 11Ⅲ. 시장개방 시나리오별 쌀 농가소득 전망 1. 관세화되어 선진국조건으로 시장개방할 경우의 쌀 소득 15 2. 개도국지위가 유지될 경우의 쌀 소득 16 3. 관세화유예가 연장될 경우의 쌀 소득 16 4. 추가적인 시장개방이 없을 경우의 쌀 소득 17Ⅳ. 정책제안 1: 약정수매제의 공공비축제 전환 1. 정부수매의 소득효과 19 2. 수매 가능물량 전망 20 3. 수매에 의한 소득지지 전망 21 4. 약정수매제의 공공비축제 전환 23Ⅴ. 정책제안 2: 소득지지직불 강화 1. 벼 재배농가의 계층구조변화 25 2. 목표소득지지제 도입 26Ⅵ. 요약-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DDA 및 쌀 재협상과 쌀 수매·소득정책의 선택-
dc.title.alternativeDDA and Renegotiation on Rice, and Choices of the Government's Rice Purchase and Income Policy-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yung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Dongg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uh, Jinky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Byounghoon-
dc.subject.keywordDDA 쌀협상 쌀수매 소득정책 쌀-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토의용논문 (W)
Files in This Item:
DDA 및 쌀 재협상과 쌀 수매·소득정책의 선택.pdf (347.32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