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네이블오렌지 생산·수출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오렌지 유통과 수출을 위한 선도 역할은 선키스트(Sunkist) 협동조합이 담당.
· 미국의 1인당 오렌지 소비량은 연간 40kg 수준으로 최근 정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량도 정체됨. 그러나 생과 및 수출용으로 경쟁력이 있는 네이블오렌지는 주로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며, 생산량은 아직 증가하고 있음.
·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지역에 대한 오렌지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중임. 미국의 오렌지 수출량의 국별 비중은 캐나다 27%, 한국 23%, 일본 15%, 홍콩 15% 등의 순으로 많음.
· 미국의 국내외 생과 오렌지 판매를 주도하는 단체는 선키스트(Sunkist) 감귤류 협동조합연합회임. 선키스트는 국내 오렌지 유통의 50~55%를 담당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량의 75% 수준을 담당함. 선키스트의 브랜드를 활용한 수익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 미국의 포도주용 포도 생산량은 증가, 생식용 포도 생산량은 정체 추세.
· 미국의 1인당 포도 소비량은 연간 22kg 수준이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임. 건포도나 포도주스 소비량은 감소 추세인 반면, 신선포도와 포도주에 대한 수요는 증가 추세임.
· 포도주용 포도 생산량은 증가하는 반면, 기타 가공용 포도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생식용 포도 생산량은 정체 추세임.
Orange Imports have rapidly expanded in Korea since it joined the WTO in 1995. As total volume of orange import exceeds a hundred thousand tons, imported oranges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ruit market in Korea. Most orange imports come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volume of grape imports from the United States is second to Chile.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United States' fruit industry in order to gauge future grape and orange imports from the U.S.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long-term supply and demand trend for oranges and grapes in the United States, and investigate their factors for future chang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미국의 과일 생산과 소비 3
1. 세계의 과일 생산 3
2. 미국의 과일 생산 5
3. 미국의 과일 소비 6
제3장 미국의 오렌지 산업 10
1. 오렌지 생산 10
2. 오렌지 소비 17
3. 오렌지 가격 19
4. 오렌지 수출입 20
5. 오렌지 가공 및 유통 22
제4장 미국의 포도 산업 31
1. 포도 생산 31
2. 포도 소비 34
3. 포도 가격 35
4. 포도 수출입 36
5. 포도 가공 및 유통 38
제5장 요약과 시사점 40
부록. 미국의 오렌지 관측조사 45
Abstract 56
참고문헌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