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경환-
dc.contributor.other박시현-
dc.contributor.other허덕-
dc.contributor.other김연중-
dc.contributor.other박주영-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8:52Z-
dc.date.available2018-11-15T07:58:52Z-
dc.date.issued2004-02-
dc.identifier.otherC2004-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709-
dc.description.abstract1. 계획수립의 전제1.1. 농업·농촌 여건 변화· 농산물 시장 개방 가속화· 농가 경제의 어려움 증대· 농산물 시장의 경쟁 강화·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강조1.2. 상위 정책 환경 변화· 농업위주에서 농업·식품·농촌으로 전환· 전체 농가 평균적 지원에서 농가 유형별 선택과 집중· 사회간접자본시설 중심 투융자에서 소득, 복지, 지역개발 중심으로 투자· 정부 주도 가격지지 정책에서 시장 지향의 소득보조정책으로· 증산중심에서 고품질 안전 농산물 중심으로· 농업생산공간에서 생산+정주+휴양공간으로· 지방 분권화의 확대 및 지역농업 강화1.3. 상위 관련 계획의 검토·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서는 국토도로 간선망 남북 2축이 통과하며, 전남지역은 생물 산업과 관광산업을 특화· 전라남도 농업 발전계획에서는 장성군이 속한 전남 북부권에는 특화작목으로서 오이, 포도, 토마토, 딸기, 멜론 및 화훼류를 추천2. 장성군 농업·농촌 현황과 잠재력2.1. 잠재력· 대규모 소비지 인접(근교농업의 유리성)· 양호한 농업조건(물, 기후 등)· 미래 지역농업을 담당할 인적 자원 존재· 자연·문화·관광자원이 풍부(Clean & Green Image)2.2. 농업·농촌 발전의 제약 요인· 지역 특산품의 형성 미흡· 산지 유통 전략 취약· 친환경농업의 체계적인 추진 미흡· 농외소득 증대 노력 미흡2.3. 주민의 개발 수요· 기술지도와 유통에 대한 주민 수요가 강함· 농협 공동 출하를 원하는 비중이 높음· 농촌관광에 대한 인식은 높지 않음·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임3. 장성군 농업·농촌 발전 전략3.1. 장성군 농업·농촌의 비전(바람직한 모습)비전1. 소비자가 만족하는 농산물을 생산하여 장성군 농업의 새로운 활로 개척☞ 지역순환형 농업시스템 구축, 적지 적작에 의한 품질 강화, 장성 농산물 홍보 강화비전2. 산지 유통 혁신을 통하여 장성군 농업의 경쟁력 마련☞ 산지유통 시스템 확립, 다양한 틈새 판매 전략 구사비전3. 농외소득 증대를 통하여 지역 경제의 건전성을 회복☞ 농촌관광사업과 지역 특산품 개발 사업 적극 추진비전4. 주거 및 휴양 공간으로서 장성의 가치를 재발견☞ 쾌적하고 열린 장성가꾸기사업 추진3.2. 과제의 추진 전략· 농정 주체간의 역할 분담- 농업인·행정·농협의 역할을 명확히 함- 군 농정의 한계를 인식- 도 농정에 대한 기대- 중앙정부 농정에 협조와 건의· 권역별 개발 사업의 특화- 장성군의 사회적·자연적 조건을 고려하여 4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개발 방향을 차등화4. 부문별 주요 개발 사업4.1. 친환경농업· 실태- 화학비료와 농약의 과다 사용- 환경농업추진체계 취약- 유통 차별화 미약· 개발 방향- 지역순환형 농업시스템 구축- 친환경 농산물 제값받기- 행정지원체제 구축· 주요 추진사업- 지역순환형 농업 실천기반 조성- 생산이력제 실시- 행정적 지원 강화4.2. 전략 작목의 육성(시설채소)· 여건 전망- DDA, FTA 협상이 이루어져도 신선채소의 수입량은 적을 전망- 소비와 생산이 주년화되고 있으나 틈새시장 존재- 소비자는 고품질·친환경농산물, 브랜드 상품 선호· 장성군 전략작목을 선정하여 품목별로 육성- 수박 : 비가림시설, 출하시기 조절, 메론으로 작목전환- 토마토 : 토경에서 양액재배시설 지원, 브랜드 출하, 수출 확대- 상추·풋고추 : 유리한 지역에 중점 육성- 딸기 : 고품질, 기능성 딸기 시험재배- 메론, 파프리카 : 재배면적 확대· 친환경·고품질 농산물 생산, 마케팅 파워 강화, 수출법인 육성· 주요 추진 사업- 시설채소의 권역별 단지화- 자조금제도 운영- 잔디 관련 전담 부서 운영4.3. 전략 작목의 육성(과수)· 여건 전망- DDA, FTA 협상 등으로 사과의 경우 국내 중·하품 시장이 크게 위협을 받으며, 단감은 추가적인 관세 인하와 수입금지 해제 요청 등의 개방 압력 증대 예상- 국내에서는 과일재배 면적 감소 지속- 상품과 하품간의 가격 차이 증대· 장성군 개발 과제- 품목별 단지 조성 사업- 친환경 고품질 과수 생산 지원- 품목별 모델 과원 육성- 브랜드 마케팅 강화- 다양한 과일 가공품 생산- 농작물재해보험 보험료 지원· 주요 추진 사업- 사과 단지 조성- 품목별 모델 과원의 선정- 과수 수출 장려- 친환경 고품질 과수농업 지원- 농작물재해보험료 지원4.4. 전략 작목의 육성(한육우)· 여건 전망- 환경보전 의식의 고조- 안전성 요구 증대- 고품질의 축산물 요구- 가축 분뇨의 자원화 가속· 개발 방향 및 과제- 고품질 및 안전성 추구- 비용절감· 주요 추진사업- 장성 한육우의 명품화 추진- 조사료 생산 지원사업4.5. 전략 작목의 육성(양돈)· 여건 전망- 양돈은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가축분뇨의 처리가 문제· 개발 방향과 과제- 고품질 돈육생산과 비용절감을 동시에 추구- 가축분뇨의 효과적 처리 내지 자원화의 방향· 주요 추진 사업- 우수퇴비공장 및 액비화시설의 건설- 축산뇨오수 처리를 위한 종합처리장 건설4.6. 장성 마케팅 기반 조성· 여건 전망- 식품안전성, 환경보호 등 강화- 도매시장에서 점차 소매시장으로 변화- 산지 유통의 규모화 진행· 개발 방향과 과제- 전방위 마케팅 체제 구축- 산지유통시스템의 구축- 다양한 유통 경로 개발- 장성군 농산물 브랜드 관리 및 홍보 강화· 주요 추진 사업- 산지유통센터 설립- 장성 농특산물 널리 알리기 사업- 내 고향 택배 사업- 친환경 농산물 품질인증 판매장 설치- 수출 마케팅 촉진4.7. 농산물 가공품의 개발· 여건 전망- 농산물 가공 산업의 수요 증대- 농산물 가공 산업의 정부 지원 확대· 개발 방향 및 과제- 농산물 가공과정 및 판매와 농촌관광 연계- 전략 특산품 육성- 전통 민속주의 개발 시도- 명인제도 확대· 주요 추진 사업- 장성 곶감 명품화 사업4.8. 농촌관광 활성화· 여건 전망- 여가 시간 증대 및 여가 형태 변화- 정부의 농촌관광 정책 지원 강화· 농촌관광 개발 방향- 농업활동과 농촌성 관광상품화- 소규모 자본으로 가능한 관광사업을 추진- 대중관광사업, 농업 및 농촌개발사업과 관광사업을 연계 추진- 허브시설의 조성- 정부정책 사업의 준비- 관광 인프라 정비- 농가 민박의 지원· 주요 추진 사업- 농업공원 조성- 주말농원 조성사업- 장성군 농촌 탐방코스 개발- 인터넷상의 홍보 강화- 교육·훈련 사업 실시- 농촌관광시설의 관리 강화4.9. 쾌적하고 열린 장성 가꾸기· 여건 전망- 농촌지역개발에 대한 비중 강화- 농촌다움(Rurality)과 쾌적성(Amenity) 보전 유지- 농촌지역개발 관련 정부 사업의 변화· 개발의 기본 방향- 쾌적한 전원주거공간 조성- 환경을 고려한 농촌생활환경 정비사업의 추진- 정주여건 개선 및 정보화, 복지시스템 증진· 주요 추진 사업- 전원형 복지마을 건설- 휴양형 주거단지 건설- 경관조례 제정- 주민참여형 경관협약 체결- 주택개량사업 및 경관주택 장려사업- 마을가꾸기 경진대회4.10. 농업인력 육성· 여건 전망- 다양한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정부의 농업인력 육성정책· 개발 과제- 전문농업경영인의 경영능력 제고- 선진지 견학 및 해외연수의 개선·지속- 여성농업인을 전문농업경영인으로 육성- 전문농업경영인간의 원활한 정보?기술 교환 여건 마련- 신규 취농 및 귀농 인력에 대한 지원 등· 주요 추진 사업- 품목별 연구회(법인)의 활성화- 전문농업경영인 교육과정 지원- 신규 취농·귀농자에 대한 지원- 전문여성농업경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올해의 우수 농업인 선정-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계획 수립 개요 1제2장 계획수립의 전제 7 제1절 농업·농촌의 여건변화 7 제2절 상위 정책 환경 변화 10 제3절 상위 관련 계획의 검토 14제3장 장성군 농업·농촌 현황과 잠재력 17 제1절 장성군의 일반현황 17 제2절 장성군의 농업·농촌 현황 30 제3절 장성군 농업·농촌의 잠재력 및 제약요인 38제4장 장성군 농업·농촌 발전 전략 47 제1절 장성군 농업·농촌의 비전 47 제2절 비전 달성을 위한 주요 과제 52 제3절 과제의 추진 전략 58제5장 친환경농업의 육성 제1절 국내외 여건변화 65 제2절 장성군 친환경농업 여건 66 제3절 개발방향과 과제 72 제4절 주요 추진사업 73제6장 전략작목의 육성 79 제1절 시설채소 79 제2절 과수 101 제3절 한육우 116 제4절 양돈 129제7장 장성 마케팅 기반 조성 137제8장 농외소득의 증대 149 제1절 농산물 가공품의 개발 149 제2절 농촌관광 활성화 157제9장 쾌적한 장성 가꾸기 183제10장 농업인력 육성 219제11장 투융자 계획 및 추진체계 235참고문헌 241부록 243-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장성군 농업·농촌발전계획-
dc.typeKREI 보고서-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장성군 농업·농촌발전계획.pdf (3.08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