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민경택 | - |
dc.contributor.other | 김정호 | - |
dc.contributor.other | 석현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01:46Z | - |
dc.date.available | 2018-11-21T01:20:10Z | - |
dc.date.issued | 2005-12 | - |
dc.identifier.other | C2005-4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880 | - |
dc.description.abstract | 지역 혁신과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 클러스터가 부각되면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산업자원부의 산업 클러스터, 농림부의 지역농업 클러스터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개념과 경험을 산림·산촌 클러스터로 응용해 볼 필요가 있다. 산림·산촌 클러스터는 일정 권역의 산림자원을 중심으로 임산물의 생산자와 가공, 저장, 유통 등 임산물 유통업체, 산림작업 서비스 업체, 대학, 관련 연구소, 지방자치단체(시·군) 등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 임업의 혁신 및 산촌의 활력 증진을 도모해 가는 집합체로 정의할 수 있다. 산림·산촌 클러스터는 특성화 정도, 주도적 혁신주체, 대상지역 범위에 따라 유형화할 수 있다. 특성화 정도에 따라 크게 품목형과 테마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해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 주도적 혁신주체에 따라 대학·연구소 주도형, 생산자 주도형, 기업 주도형, 지자체 주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상지역 범위에 따라서 마을 단위, 읍면단위, 기초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산림·산촌 클러스터는 인프라 중심의 투자주도형 임업발전을 혁신주도형 임업발전으로 이끌어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적인 산림사업 투자를 패키지화함으로써 사업간의 연계성을 높이고 투자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양한 분야와 통합하여 사업 추진하는 것은 생산 위주의 임업을 1·2·3차 산업이 연계된 임산업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된다. 그뿐만 아니라 지역의 기술과 인력 등 모든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틀이 되어 지역 임업을 혁신하고 내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추진을 위한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자원의 관리 및 주민 소득증진에 기여해야 한다. 둘째, 지역 임업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 셋째, 지역과 품목, 특성, 주도세력 등 여건에 맞게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넷째, 지역 균형발전정책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다섯째, 초기에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스타 클러스터의 시범사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추진과 발전을 위한 과제도 있다. 첫째, 클러스터 관련 산림사업을 연계하여 지원하고 점차 통합해 가야 한다. 둘째, 산촌개발사업은 지역적 특성과 산업적 특성을 연계하여 클러스터화로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산림·산촌 클러스터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아가는 전담조직을 갖추어야 한다. 넷째, 시설과 인프라 외에 지역자원조사, 브랜드 개발, 교육훈련, 사업단 운영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산림?산촌 클러스터에서 취약한 부분인 기술지원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현장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클러스터의 조기 정착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산림·산촌 클러스터 참여자들의 혁신의지를 고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제공해야 한다. 여덟째, 산림·산촌 클러스터 발굴을 위해 자원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defines 'forest and mountain village cluster' as "the place, where all kinds of forest-related businesses engaged in forest production, processing and marketing;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regional administration; and agencies form a network and generate synergic effects of regional forestry innovation and vitality of mountain village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it would be a good signal for forestry development, if forest and mountain village cluster closely connects forest with other activities and raises the investment efficiency through the networking of participants and integration of forest investments. Forest and mountain village cluster is beginning stage, the policy fostering the cluster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s : 1) The policy should contribute to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increment of income of participants. 2) The policy should foster the forest and mountain village cluster as growth engine of regional forestry. 3) The policy should be driven stepwise on the basis of region, crops and leader's capacity. 4) The policy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regional balance policy. 5) The policy should create the star cluster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Researchers: Min Kyung-Taek, Kim Jeong-Ho, Seok Hyun-Duk E-mail address: minkt@krei.re.kr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선행연구 고찰 2 3. 연구 목적 4 4. 연구 내용 5 5. 연구 방법 5 제2장 클러스터의 이론과 논의동향 1. 클러스터의 논의 동향 7 2. 클러스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10 3. 클러스터의 특징 12 4. 클러스터의 기대효과 13 5. 클러스터의 발전 모형 14 6. 클러스터의 발전 조건과 실패 원인 15 7. 우리나라의 지역혁신 클러스터 추진동향 18 8.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추진 현황 20 제3장 산림·산촌의 클러스터화 가능성과 조건 1.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개념 27 2.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구성요소 28 3.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입지여건 30 4.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유형 31 5.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발전조건 34 제4장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정책과제 1. 산림·산촌 클러스터 추진의 필요성 36 2. 산림·산촌 클러스터 정책의 특성 38 3. 산림·산촌 클러스터 추진을 위한 정책과제 40 제5장 산림·산촌 클러스터의 추진방안 1. 기본 방향 42 2. 정책 추진 체계 및 운영 44 3. 정책지원내용 47 4. 산림·산촌 클러스터 사업 추진 절차 49 5. 향후 발전 방향 55 제6장 결론 및 요약 59 부 록 61 참고문헌 70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산림·산촌 클러스터 추진을 위한 기초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Ground Study of Fostering Forest and Mountain Village Cluster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in, Kyungtaek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Jeongho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eok, Hyundeok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