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배성-
dc.contributor.other이용호-
dc.contributor.other문한필-
dc.date.accessioned2018-11-15T08:02:12Z-
dc.date.available2018-11-15T08:02:12Z-
dc.date.issued2005-12-
dc.identifier.otherM072-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897-
dc.description.abstractOECD 세계농업전망모형인 Aglink모형은 OECD 사무국이 회원국의 협조하에 세계농업부문 중장기 전망을 위해 1993년 개발하여, 매년 자료갱신과 더불어 파라미터 및 모형구조를 지속해서 갱신해오고 있다. 매년 수행되는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세계농업 분석능력을 형성하고 제고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수행된 당해 연도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에서 이 연구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과 목적(당해 연도 및 최종목적)을 소개하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당해 연도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하였으며, Aglink모형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모형에 대한 대략적인 개요가 설명되었다. 제2장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주요 농축산물 가격 및 수급에 대한 현황과 전망에 대해 집중검토, 3국간에 농산물 수급과 관련해서 주요 특징적인 부분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Aglink모형내 한국 쌀 모듈구조를 검토하고, 현재 쌀 모듈에 반영되어 있지 않는 정책변수인 쌀소득보전직불제를 반영하는 구조로 재설계했다. 현재 한국 쌀 모듈에는 수매제를 반영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제4장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품목별 모듈구조를 소개하고, 이들 모듈구조 검토를 통해 각 국별 모듈의 특징과 중국·일본 모듈의 한국 모듈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과정에서 파악된 향후 추가적인 보완사항 및 과제를 소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Aglink model is a dynamic ex-anti simulation model and a demand-supply partial equilibrium model of the world agricultural sector. The model was developed by the OECD Secretariat in cooperation with member countries in 1993 and has been used to carry out the OECD world agricultural outlook and simulate for various policy analysis. As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continuously year by year, the final aim is to build sufficient application capacity to analyses the world agriculture market in KREI(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major research contents of this year are as follows. In the 1st chapter, The research background, aims of this study, review of preceding researches and brief explanation of imported variables in Aglink model are introduced. In the 2nd chapter, we reviewed on current status and outlook of demand-supply in the agricultural market among Korea, Japan and China and found several implications. Additionally, In the 3rd chapter, we introduced and reviewed on Korean rice module structure and suggest a modified structure of Korean rice module. And In the 4th chapter, we compared the three national modules(Korea, Japan and China) and introduced the different points.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points for more robust research. Researchers: Bae-Sung Kim, Han-Pil Moon, and Young-Ho Lee e-mail Address: bbskim@krei.re.kr, hanpil@krei.re.kr, gonlee77@krei.re.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선행연구 검토 및 이 연구의 차별성 3 제2장 한·중·일 주요 농산물 수급 비교·검토 1. 쌀 수급전망 비교 5 2. 잡곡 수급전망 비교 7 3. 밀 수급전망 비교 9 4. 쇠고기 수급전망 비교 11 5. 돼지고기 수급전망 비교 13 6. 가금육 수급전망 비교 15 제3장 한국 쌀 모듈구조 검토 및 개선점 제안 1. 모형의 특성 18 2. 과거 모형의 세부 구조 19 3. 한국 쌀 모듈 재설계 20 제4장 한·중·일 품목별모듈 소개 및 구조검토 1. 한국모듈 24 2. 일본모듈 38 3. 중국모듈 58 제5장 향후 보완사항 및 과제 87 참고 문헌 88-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세계농업 전망모형 Aglink 2005 운용·개발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Modelling and Management of the OECD World Agricultural Outlook Model, Aglink 2005-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Baes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oon, Hanpil-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타연구보고 (M)
Files in This Item:
세계농업 전망모형 Aglink 2005 운용·개발연구.pdf (745.83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