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별 거점산지유통센터 최적배치방안 및 운영지침 연구:최적배치부문
-
저자
- 최지현; 박준기; 박재홍
-
출판년도
- 2005-04
-
초록
- ? 본 연구는 농산물 시장개방과 국내 유통환경변화에 따라 국내 과수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전국 과실 주산지를 권역별로 구분하고, 주요과실의 수급 및 산지유통여건을 감안한 거점 산지유통센터(APC)의 적정 설치수요를 분석하여 권역별 과실별 APC의 최적배치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기존 APC 사업의 문제는 낮은 시설이용률, 산지조직화부진에 공동계산제 정착 미흡, 전문성과 인센티브 부족에 따른 마케팅 능력의 한계, 생산자의 의식부족, 시설장비의 소규모 및 노후화 등으로 인해 APC가 정상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 소비지변화에 산지가 적적히 대응하기위해서는 취급물량의 규모화 및 시설장비의 대형화, 산지의 거점화, 전문 CEO에 의한 운영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개념을 지닌 거점 APC의 건설이 필수적이다.
? 도별 권역구분과 거점지역선정결과 사과 생산의 50%를 차지하는 경북은 주산지 분포를 고려하여 북부권과 중부권으로 권역을 구분하고 주요거점지역으로 안동, 영주, 문경, 청송, 의성, 영천 6개 주산권역을 선정하였다.
? 경남은 권역을 크게 사과주산지인 북부와 동부, 단감 주산지인 남부권으로 구분하고, 주요거점으로서 거창, 밀양, 진주, 김해의 4개 주산권역을 선정하였다.
? 전남은 권역을 크게 배 주산지인 나주중심의 중부권과 단감 주산지인 순천중심의 동부권으로 구분하였고, 거점지역은 각각 나주와 순천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전북지역의 권역은 사과주산지인 장수와 무주를 중심으로 하는 동부권과 배 주산지역인 정읍, 김제 등의 중부 권역으로 구분하였다.
? 충남 권역은 사과 주산지인 예산중심의 중부권, 배 주산지인 천안중심의 동부권, 배와 복숭아 주산지인 논산중심의 남부권으로 구분하였다. 충북 권역은 주산지의 특성과 접근성을 고려해 사과주산지인 충주 중심의 북부권역과 복숭아 주산지인 음성과 경기 이천지역을 연계한 중서부권, 영동과 보은 등의 배와 사과 등을 연계한 남부권으로 구분하였다.
? 경기도는 안성과 평택 두 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통합하였고, 제주는 지리적 여건을 감안할 때 남제주권, 북제주권, 제주시권, 서귀포권의 4개권역으로 구분하였다.
? 경제분석 결과 사과, 배, 감귤, 단감, 복숭아 모두 시설조업도가 70% 이상 유지되어야 사업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자관점에서는 공공유형으로 추진하면 시행 초년도 부터 수익이 발생하지만 정부보조 50%시 조업도 역시 70% 이상은 되어야 사업 시행초기에 이익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거점 산지별 적정취급규모를 보면 25개 거점 지역 중 15개 지역은 취급량이 2만톤 이상, 10개 지역은 2만톤 이하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사과와 감귤 주산지의 경우 2만톤 이상, 복숭아, 단감 및 일부 배주산지는 1만 5천톤 내외일 것으로 예상된다.
? 2013년을 목표연도로 분석해 볼 때 전국의 거점 APC 수요는 25개소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품목별로 보면 사과가 11개소로 가장 많고 배 6, 감귤 4, 단감 3, 복숭아 1개소이다. 도별 분포를 보면 경북이 6개소로 가장 많고 경남, 제주 각각 4개소, 충남북이 각각 3개소, 전남북 각각 2개소, 경기 1개소이다.
? 2013년 거점 APC의 총 취급량은 42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2013년 과실생산량 207만톤의 약 20%에 해당되며, 2003년 APC 취급물량(15만톤)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한 물량이다.
? 장기적으로 제주도지역과 경북지역의 수요를 감안한다면 거점 APC는 이외에도 10여개 정도는 더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거점 APC사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전문경영인에 의한 독립경영체계 구축, 협약에 의한 계약출하 학대, 공동선별?공동계산 체계 구축, GAP등 고품질 부가가치 창출 기능 확대, 이용품목의 다양화, 기존 APC 시설의 계열화 등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The Optimal Allocation of the Large Scaled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LSAPC by The Main Fruit Production Regio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optimal allocation scheme for the large scaled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LSAPC) through the projection of fruit production by major fruit production reg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mand for LSAPC will reach at 25 units in 2013: 11 for apple, 6 for pear, 4 for Korean mandarin orange, 3 for persimmon, and 1 for peach. Regarding the efficiency of investment for the LSAPC based on IRR analysis, there exists an economic validity if the LSAPC can keep the operation rate over 70 percent. In view of the LSAPC management group, it is profitable from the beginning of investment year because government subsidize 50 percent of total investment.
The optimal packing volume will be over 20,000 M/T for 15 sites among 25 LSAPC. Those of the LSAPCs for persimmon and peach will be around 15,000 M/T.
In 2013, the volume packed by the LSAPC is will be 420,000M/T, which account for 20 percent of the projected total fruits production.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the LSAPC,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dependent management system and pooling system, and to diversify packing commodities around year, and to integrate the existing facilities such as cold storages and small packing houses in local area
Researcher: Ji-Hyeon Choi, Joon-Kee Park and Jae-Hong Park
E-mail address: jihchoi@krei.re.kr
-
목차
-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선행연구 검토 3
4. 연구범위 및 방법 3
제2장 APC 사업의 당면문제와 발전방향 6
1. APC 사업의 현황과 당면문제 6
2. 농산물 소비 및 유통환경의 변화 12
3. APC 사업 발전방향 14
4. 거점 APC의 개념 정립 16
제3장 지역별 과실 생산전망 18
1. 사과 18
2. 배 22
3. 감귤 25
4. 단감 26
5. 복숭아 29
제4장 생산(유통)권역 구분 및 거점 선정 32
1. 권역 구분 및 거점 선정 방법 32
2. 도별 권역 구분 33
제5장 거점 APC 사업의 타당성 분석 46
1. 분석방법 46
2. 분석결과 48
제6장 거점 APC의 취급규모와 적정배치 55
1. 거점 산지의 경유물량 추정 55
2. 거점 APC 취급규모 산출 58
3. 거점 APC 적정 배치(안) 60
제7장 거점 APC 운영 효율화 방안 68
1. 전문경영인에 의한 독립경영체계 구축 68
2. 전속이용시스템 확립 69
3. 공동계산 체계 확대 69
4. 기능 확대 70
5. 이용 품목 다양화에 의한 연중 가동체계 구축 71
6. 시설 지원 이외에 소프트웨어 지원 확대 71
7. 연차적 지원 체계 확립 72
8. 엄격한 사후평가 및 관리 72
9. 유통시설 계열화를 통한 기존 APC 효율적 이용방안 모색 73
제8장 요약 및 결론 74
참고문헌 79
선진국의 사과 선과장(packing house) 운영 사례 80
미국 선과장 등의 산지정보관리시스템 운영사례 87
거점 APC의 타당성 분석자료 98
-
주제어
- 농산물유통; 산지유통; APC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994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 Files in This Item:
-
권역별 거점산지유통센터 최적배치방안 및 운영지침 연구:최적배치부문.pdf (1.35 MB)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