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필-
dc.contributor.other성주인-
dc.contributor.other김미복-
dc.contributor.other최경은-
dc.contributor.other채종현-
dc.contributor.other김창현-
dc.contributor.other최성애-
dc.date.accessioned2018-11-15T08:23:48Z-
dc.date.available2018-11-15T08:23:48Z-
dc.date.issued2009-10-
dc.identifier.otherR59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5541-
dc.description.abstract교통·통신의 발달로 국민들이 일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소가 이전보다 확대되고 있으며, 농어촌에서도 그러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는 마을이나 읍?면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민이 많았으나, 점차 그 장소가 시·군 중심지나 인근 지방중소도시로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역화의 결과로 어떤 지역은 인구가 유입되고 새로운 산업이 입지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지만, 많은 농어촌지역에는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더구나 정부는 최근 광역경제권개발이란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고 선도산업을 육성하는 등 거점개발을 추진 중이다. 일부 대도시 인근 농어촌은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고급서비스를 향유할 기회가 늘어나겠지만 상대적으로 입지조건이 불리한 지역은 그러한 혜택에서 소외되어 결과적으로 지역 간 및 산업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될 우려도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의 경제?생활권 광역화 현상을 살펴보고, 그와 관련한 농어촌 경제 활성화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제1차연도 연구에서는 정책 과제 도출을 위해 광역화에 따라 농어촌지역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고, 농어촌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보고서는 2009∼2010년에 걸쳐 수행되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협동연구과제의 제1차연도 연구결과물로서, 광역화 현상 분석 및 지역자원 발굴을 통한 내발적인 농어촌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광역화에 대응한 농어촌경제 활성화 방안은 제2차연도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mega-regionalization of economy and lifestyle in rural area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rural economy. To highlight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especially analyzes the impacts on rural areas due to mega-regionalization and provides various examples that have been able to vitalize the areas. ‘Mega-regionalization’ means the expansion of geographic mobility in population and commodity/service. Mega-cities diversely affect residents of neighboring communities. Moreover, individuals change their lifestyle as well as place of residence. In South Korea, the outcome of mega-regionalization is most prominent in mid-size cities in terms of mobility of people, but there are also several active suburbs in metropolitan areas. In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cities to conduct a case study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mega-regionalization on rural areas in detail. All three cities showed different results in population dynamics and lifestyle. Many examples where the vitalization of rural areas is shown are introduced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ase study of three selected cities. This study show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inter-partnership among neighboring rural areas should increase for efficiency. Second, better welfare service should be introduced to prevent income outflow as the number of residents decreases. Third, a specialized policy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demographic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Finally, the policy should support local groups for consistent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rural are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제2장 이론적 검토 및 분석 과제제3장 국토 공간의 광역화 실태와 영향제4장 농어촌지역 광역화의 파급영향과 정책과제제5장 어촌지역의 광역화 현상과 시사점제6장 국내외 농어촌경제 활성화 사례제7장 광역화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결과의 요약 및 정책과제부록 1. 광역화의 실태와 효과분석 관련 자료부록 2. 국토의 광역화 유형구분에 따른 시?군별 결과부록 3. 농촌 광역화 실태 파악을 위한 사례지역 주민조사표참고 문헌-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 활성화 방안 (1/2차연도)-
dc.title.alternativeStrategies to Stimulate the Rural Economy under the National Mega-Regionalization Trend-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ongphil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eong, Joo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eeb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Kyung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e, Jong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anghyun-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경제·생활권 광역화에 따른 농어촌경제 활성화 방안 (1/2차연도).pdf (3.46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