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농림수산물 무역동향(2000년 상반기)
- 저자
- 김태곤
- 출판년도
- 2000-10-12
- 목차
- 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
일본의 농림수산물 무역동향(2000년 상반기)
일본의 농림수산물 수입시장은 세계 최대의 규모이다.
1999년 당시, 수입액은 7조 580억 엔(621억 달러), 수출액은 3,394억 엔(30억 달러)이다.
일본의 농산물시장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시장인 동시에 수입시장이기도 한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7조 엔에 달하는 일본 농림수산물시장의 점유율은 미국이 27.3%로서
1위를 차지하고, 그 다음이 중국(10.9%), 캐나다(6.8%), 오스트레일리아(6.4%), 타이(4.5%),
인도네시아(4.5%)이며, 한국은 3.5%로서 7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수출시장으로는
미국(21.2%), 홍콩(18.0%), 대만(16.8%)에 이어 한국은 4위이며 점유율은 8.9%이다.
2000년 상반기, 일본의 농림수산물 무역동향을 살펴본다.
1. 농림수산물의 무역액 감소
2000년도 상반기 일본의 농림수산물 무역은 전년
동기에 비하여 감소하고 있다. 국가 전체는 수입이 13.7%, 수출이 8.9% 증가하였지만
농림수산물의 경우 수입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3.9%, 수출액은 7.8%나 감소하고
있다. 농림수산물의 수입액은 엔기준으로는 1997년을 피크로 3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2000년 상반기의 수입액은 3조 4,386억 엔에 달하고 있으나, 반면에 수출액은 1,553억
엔으로서 3조 2,833억 엔의 무역적자를 발생하고 있다. 한편, 농림수산물 수입액
중 농산물은 전년 동기에 비해 5.4% 감소한 1조 9,901억 엔, 임산물은 2.1% 감소한
6,208억 엔, 수산물은 1.4% 감소한 8,278억 엔으로서, 특히 농산물 수입액의 감소가
현저하다.
표 1 농림수산물 수출입 금액(2000년 상반기)
단위:억엔, %
구분
2000년
(상반기)
전년대비
증감률
1999년
(상반기)
1999년
(합 계)
수
입
(CIF)
총 액(A)
193,411
13.7
170,130
352,680
농림수산물계(B)
34,386
△ 3.9
35,775
70,591
농산물
19,901
△ 5.4
21,045
40,933
임산물
6,208
△ 2.1
6,338
12,264
수산물
8,278
△ 1.4
8,392
17,395
B/A(%)
17.8
-
21.0
20.0
수
출
(FOB)
총 액(C)
250,727
8.9
230,210
475,476
농림수산물계(D)
1,553
△ 7.8
1,685
3,394
농산물
809
△ 13.6
936
1,891
임산물
44
△ 2.3
45
89
수산물
701
△ 0.5
704
1,414
D/C(%)
0.6
-
0.7
0.7
무역수지(C-A)
57,316
-
60,080
122,795
농림수산물(D-B)
△32,833
-
△34,090
△67,197
주:무역수지의 △표시는 수입초과임.
2. 농림수산물의 수입동향
2.1. 농산물
농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5.4%감소한 1조
9901억엔이다(달러 기준으로는 5.2%증가). 주요 품목별로 보면, 첫째 곡물 등을 보면,
대두의 수입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옥수수와 소맥은 감소하고 있다. 금액은 환율이
전년 동기에 비해 엔고 현상의 영향으로 3품목 모두 감소하였다. 둘째, 육류를 보면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수량과 금액 모두 증가하고 있다. 닭고기는 수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수입가격이 대폭 하락하여 금액도 대폭 감소하였다. 1999년도 돼지고기 가격은
13.6%나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입수량은 20% 정도 증가하였다. 셋째, 신선채소는
국내산 일부 품목이 기후불량으로 인해 출하가 적어졌기 때문에 수입 수량이 증가하였다.
신선채소는 1999년에도 가격하락으로 수량은 18.1%로 대폭 증가한 바 있으며, 2000년
상반기에도 국제가격의 계속적인 하락으로 인하여 수량은 12.5%나 증가하고 있다.
넷째, 신선·건조 과실을 살펴보면, 바나나가 전년이 이에 계속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어 수량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표 2에서와 같이 신선·건조과실의 경우는
수입금액은 감소하였지만 수량은 14.8%로 대폭 늘어나고 있다.
농산물 수입을 금액으로 보면, 돼지고기, 담배,
쇠고기, 옥수수, 알코올 음료, 대두, 소맥, 신선채소 등의 순이며, 특히 신선채소,
돼지고기, 알코올 음료 등이 신장률이 현저하다.
2.2. 임산물
임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2.1% 감소한
6,208억 엔이다(달러 기준으로는 9.0% 증가). 이것을 품목별로 보면, 제재목은 수량·금액
모두 증가하였고, 원목·합판은 수량·금액 모두 감소하였다. 칩은 수량은 증가하였지만
금액은 감소하였다.
표 2 주요 농산물의 수입수량과 금액(2000년 상반기)
품 목
수량(천톤)
전년동기대비
증 감 율(%)
금액(억엔)
전년동기대비
증 감 율(%)
농 산 물
-
-
19,901
△ 5.4
옥 수 수
8,039
△ 3.9
1,022
△ 9.8
대 두
2,517
2.7
704
△ 7.2
수 맥
2,990
△ 5.9
563
△ 16.6
쇠 고 기
346
3.2
1,381
0.8
돼지고기
325
5.7
1,742
3.8
닭 고 기
275
4.9
441
△ 19.7
신선채소
470
12.5
463
△ 6.1
신선·건조과실
1,071
14.8
1,111
△ 2.3
담 배
89
0.0
1,631
10.4
알코올음료(천㎘)
223
5.4
882
△ 9.7
커 피 콩
193
1.2
461
△ 15.1
자료:농림수산성
표 3 주요 임산물의 수입수량과 금액(2000년 상반기)
품 목
수량(천㎥)
전년동기대비
증 감 률(%)
금액(억엔)
전년동기대비
증 감 률(%)
임 산 물
-
-
6,208
△ 2.1
제재목
5,400
12.5
1,985
9.2
원 목
8,425
△ 2.7
1,325
△ 8.5
합판(천㎡)
306,631
△ 4.7
899
△ 16.4
칩(천톤)
7,197
7.6
1,035
△ 6.6
자료:농림수산성
2.3. 수산물
수산물 수입액은 전년 동기에 비해 1.4%감소한 8,278억엔이다(달러
기준으로는 9.7% 증가). 품목별로 보면, 새우·삼치류, 뱀장어(조제품) 및 연어·송어는
수량·금액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게는 수량·금액 모두 상당히 감소하였다.
2.4. 농림수산물의 주요 수입국
농림수산물의 수입국별 금액을 보면, 미국이 가장
많고 전체의 28.0%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농산물은 미국, 임산물은 캐나다, 수산물은
중국이 각각 수입금액이 1위이다.
3. 일본 농산물시장에서 한국의 위치
일본의 농림수산물 수입액에 차지하는 한국의 비중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농림수산물 전체로는 미국이 28.0%로서 1위를 차지하고, 그
다음이 중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타이, 인도네시아, 한국 등의 순서이다. 우리나라는
1999년에 이어서 2000년 상반기에도 7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유율은 2.9%로서 99년
상반기 점유율 3.1%보다 다소 감소하고 있다. 농림수산물 중 농산물은 순위는 10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유율은 99년 상반기 2.4%(9위)에 비해 금액면에서 23.5%나 감소한
1.9%로서 고전하고 있다. 한편 수산물은 중국, 미국, 러시아에 이어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금액면에서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표 4 주요 수산물의 수입수량과 금액(2000년 상반기)
품 목 명
수량(천톤)
전년동기대비
증 감 률(%)
금액(억엔)
전년동기대비
증 감 률(%)
수 산 물
-
-
8,278
△ 1.4
새우
(활어, 신선 냉장, 냉동)
119
3.5
1,396
5.1
가다랭이·삼치류
(신선, 냉장, 냉동)
196
21.9
1,033
1.6
뱀장어
(조제품)
45
40.5
537
8.3
연어·송어
(신선, 냉장, 냉동)
110
5.1
613
3.2
게
(활어, 신선, 냉장, 냉동)
50
△ 12.2
443
△ 9.2
자료:농림수산성
표 5 농림수산물의 주요 수입국(2000년 상반기)
구분
1위
2위
3위
4위
5위
농림수산물계
미국
(28.0)
중국
(11.9)
캐나다
(7.0)
호주
(6.1)
태국
(4.3)
농산물
미국
(39.4)
중국
(11.2)
호주
(7.9)
캐나다
(5.4)
태국
(4.5)
임산물
캐나다
(17.6)
미국
(16.9)
인도네시아
(12.3)
말레이시아
(11.3)
중국
(7.7)
수산물
중국
(16.8)
미국
(9.0)
러시아
(7.5)
한국
(7.3)
칠레
(6.9)
자료:농림수산성
주:( )내는 수입금액의
구성비율임.
표 6 농림수산물 수입국 순위(2000년 상반기)
순위
(2000년)
순위
(1999년)
국명
수입액
구성비
전년대비
증감률
100만엔
%
%
1
1
미국
963,456
28.0
△ 4.5
2
2
중국
409,577
11.9
3.3
3
3
캐나다
240,259
7.0
2.3
4
4
호주
209,900
6.1
△ 3.3
5
6
태국
148,408
4.3
△ 7.2
6
5
인도네시아
143,720
4.2
△ 11.1
7
7
한국
100,723
2.9
△ 10.6
8
8
러시아
98,570
2.9
△ 11.7
9
9
말레이시아
90,632
2.6
△ 11.1
10
10
칠레
88,465
2.6
4.1
농림수산물 합계
3,438,640
100.0
△ 3.9
우리나라의 주력 품목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돼지고기는 99년 13.4%(4위)에서 구제역의 영향으로 2000년 상반기에는 5.2%로 반감하였지만
여전히 일본 돈육시장에서 덴마크(32.9%), 미국(29.1), 캐나다(15.4), 멕시코(5.9)에
이어서 5위를 유지하고 있다. 둘째, 신선 채소는 8.4%로서 중국(27.0%), 미국(23.0%),
뉴질랜드(18.7%)에 이어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수량, 금액 모두 99년에 비해 증가하고
있으나, 순위는 99년의 3위(10.4%)에서 4위로 떨어졌다. 셋째, 알코올 음료는 2000년
상반기 6.6%로서 프랑스(40.1%), 영국(17.2%), 미국(11.1%)에 이어서 4위를 유지하고
있다. 전년의 4.3%에 비해 수량면에서 2배 정도의 신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수산물은
가다랭이·참치류가 대만(29.4%)에 이어 2위(14.8%), 명란이 5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수출 동향을 보면, 2000년 상반기
농림수산물 수출액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 중 농산물은 전년 동기에 비해
13.6% 감소한 809억엔, 임산물은 2.3% 감소한 44억엔, 수산물은 0.5% 감소한 701억
엔이다. 이것을 품목별로 보면, 진주, 가다랭이·참치류 및 알코올 음료는 수량·금액
모두 감소하고 있다. 담배는 수량은 증가하지만 금액은 대폭 감소하고 있다.
일본의 농림수산물의 수출국은 미국이 1위이며,
전체 수출액의 20.7%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이 홍콩(18.3%), 대만(14.3%), 한국(11.0%),
중국(6.0%) 순이다. 한국은 일본 수출시장의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99년 상반기의
8.1%에 비하면 점유율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은 일본 농림수산물의 주요 수출국이
되고 있다.
자료:일본 농림수산성「농림수산물수출입개황」(2000. 8. 17)에서
(김태곤 taegon@krei.re.kr 국제농업연구실)
- 발행처
- KREI
- 발간물 유형
- KREI 논문
- 보고서 번호
- WRD-00012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256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