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일본의 월간 채소산업 정보(2001. 2)

저자
김태곤
출판년도
2001-03-15
목차
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
일본채소산업월간정보2001.2(MAFF)

1. 채소의 가격ㆍ생산동향
1.1. 전체
최근의 채소가격은 10월부터
11월에 걸쳐 일조량의 부족으로 12월 이후에는 종합적으로 평년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추이되고 있다. 새해 이후의 한파, 폭설 등의 영향으로 입하량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1월은 상당히 상승하였지만, 2월 중순에 가격은 안정을 되찾아 평년을 약간 상회한
수준으로 추이되고 있다.
1.2. 엽경채류
배추, 양배추, 양상추는 일조량의
부족으로 인해 초기생육이 방해되어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으며, 시금치는 주산지인
北關東의 폭설 등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평년을 상당히 상회하는 수준이 되었지만,
2월 중순에는 안정을 되찾고 평년을 조금 상회하거나 평년수준의 가격 대이다. 한편,
파는 수입증가의 영향도 있어서 평년을 대폭으로 하회하는 가격으로 추이되고 있다.
1.3. 과채류
서부 온난지가 주산지인 피망은
일조부족의 영향에 의해 수세가 약하고 착과 불량이어서 평년을 상당히 상회하는
가격수준이다. 토마토, 가지는 평년수준 가격으로 추이하고 있다.
1.4. 토물류
북해도가 주산지인 양파, 감자는
평년수준의 가격으로 추이되고 있다.
표 1 채소의
생산·가격 추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도매가격(엔/kg)
155
154
195
163
145
생산액(억엔)
22,986
23,090
25,953
22,110
식부면적(천ha)
524
514
506
502
수확량(만톤)
1,462
1,431
1,364
1,387
자료:동경청과물정보센터「청과물유통연보」
농림수산성「생산농업소득통계」「채소생산출하통계」
주:⑴ 도매가격은
동경도중앙도매시장에서의 지정채소 14품목의 평균가격이다.

식부면적 및 수확량은 식료수급표기준 50품목이다.
2. 신선채소의 수입동향
2001년 2월 19일에 공포된
재무성「무역통계」에 의하면,
(1) 신선채소의 수입량은 926톤이며,
과거 5년간의 약 1.5배이다.
(2) 이 가운데에 특히 파 등은
약 4.6배 증가하였으며, 토마토 약 25.9배, 피망 등 약 4.1배, 양파는 약 1.4배 증가,
이 외에 가지, 마늘 등도 증가하고 있다.
신선채소의 수입량은 과거
5년 간 296천 톤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량이 201천
톤, 한국에서의 수입 증가량이 26천 톤으로 상위 2개국에서
수입량의 약 8할을 차지하고 있다.
표 2 주요
신선채소의 수입량
단위:천톤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신선채소계
630
573
740
885
926
양파
184
175
205
223
262
호박
144
136
129
154
133
우엉
72
82
브로크리
74
72
75
91
79
생강
31
33
30
34
48
당근ㆍ순무
30
13
34
50
44
파 등
9
9
18
30
42
메론
27
24
29
39
34
마늘
24
25
27
26
29
아스파라거스
22
21
20
24
25
피망 등
4
6
9
11
16
토마토
1
1
4
9
13

0
0
1
2
2
자료:재무성「무역통계」
주:우엉은 1999년부터
별도 분류되었다.

표 3 아시아에서의
신선채소 수입량
단위:톤
1996
1997
1998
1999
2000
중국
118,394
103,926
236,680
285,556
319,775
한국
4,887
3,921
26,843
28,090
30,414
대만
32,800
15,970
15,172
34,958
23,773
타이
16,163
9,471
9,019
11,802
12,461
필리핀
13,899
11,688
11,052
8,167
6,998
인도네시아
1,457
727
410
1,235
865
베트남
786
523
553
264
329
미얀마
16
0
4
말레이시아
3
1
싱가포르
브루네이
캄보디아
라오스

188,389
146,242
299,729
370,073
394,619
자료:재무성「무역통계」
3. 세이프가드에 관한 정부조사 상황
3.1. 세이프가드 정부조사 개시
2000년 12월 22일 대장대신,
통상산업대신 및 농림수산대신은 파, 버섯, 골풀 등 3품목에 대해서 세이프가드에
관한 정부조사를 개시하기로 결정하였다.
3.2. 조사표 배부
이 조사에서는 수입증가의
사실 및 이에 의한 일본 산업에 미치는 중대한 손해 등의 사실 유무에 대한 인정을
실시하기 위해, 다음의 관계자에 대해 조사표를 송부하고 현재 집계중이다.
표 4 파의 세이프가드 조치에 관한 조사
배포처 리스트
배포처
매수(매)
전농ㆍ경제련
48
농협
1,355
농업인
1,600
수입업자
73
도매업자
868
중개업자
247
소매업자
116
외식ㆍ식품가공업자
952
소비자
1,021
3.3. 향후 일정
2001년 3월 22일 이해관계자의
증거제출 및 증언 기한
4월
27일 이해관계자의 의견표명 등의 기한
상기를 기초로 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4. 식물검역 상황
최근 주요 신선채소 주요국에서
수입식물 검사실적 속보는 다음과 같다.
표 4 채소검역
속보
단위:톤
2001.1.22-28
2001.1.29-2.4
2001.2.5-11
2001.2.12-18

검사수량
1,069
720
1,418
1,485
합격수량
444
347
560
673
불합격수량
625
373
858
812
양파
검사수량
6,544
5,997
7,818
5,799
합격수량
1,891
2,145
2,229
2,172
불합격수량
4,653
3,852
5,589
3,627
토마토
검사수량
49
38
46
37
합격수량
49
38
46
37
불합격수량
0
0
0
0
체리
토마토
검사수량
364
339
330
315
합격수량
364
339
330
315
불합격수량
0
0
0
0
피망
검사수량
205
266
266
390
합격수량
198
245
260
360
불합격수량
7
21
6
30
자료:농림수산성
식물방역소 조사
주:⑴
주요국의 파, 양파, 토마토, 체리토마토(방울토마토) 및 피망의 수입검사실적
속보치이다.

이 수량은 수입식물검사를 실시한 수량집계이며, 세관통관통계 수치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불합격」은 수입검사결과, 검역유해동식물 등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불합격되었으며, 살충처리 등 소요의 검역조치를 강구하여 그 후 합격된
것이 포함되어 있다.
5. 채소 소비에 대해서
일본의 1인당 채소 소비량은
1989년까지는 110kg정도로 정체하고 있었지만, 최근 비타민류가 풍부한 녹황색채소가
증가하는 한편, 채소 전체 소비량은 감소하여, 1998년에는 99.4kg으로 10kg정도 떨어졌다.
그러나 1999년에는 102.3kg(속보치)로 소비량이 회복되고 있다.
(자료://http://www.maff.go.jp/work/010131seisan/hyousi.htm에서)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113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357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