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
야채가격 생산동향(농림성)
1.채소의
가격과 생산동향
1.1. 전체
최근
10월부터 11월에 걸친 일조부족으로 인해서 12월 이후의 채소가격은 평년을 상회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욱이 정월 이후의 한파, 적설 등의 영향을 받은
입하량 감소로 인한 1월의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2월 중순에는 가격이 안정을
되찾아 평년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 되었으며, 3월에는 종합적으로 평년의 수준이
될 것으로 추이되고 있다.
1.2. 엽경채소
배추,
양배추, 양상추는 일조부족으로 초기생육이 저하되어 알이 적은 경향이 있으며, 시금치는
주산지인 北關東이 적설 등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평년을 상당히 상회하거나 평년수준의
가격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 외 파는 수입증가의 영향 등으로 인해 평년을 대폭
하회하는 가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추이되고 있다.
1.3. 과채류
서부
난지가 주산지인 피망은 일조부족의 영향으로 수세가 약하며 착과불량으로 가격 수준이
평년을 상회하고 있다. 가지, 토마토는 평년수준의 가격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추이되고
있다.
2. 신선채소의
수입동향
2001년
2월 19일에 공표 된 재무부「무역통계」에 의하면
첫째,
2000년의 신선채소의 수입량은 926천톤으로 과거 5년 동안 약 1.5배 증가하였다.
둘째,
이 중에서도 특히 파 등은 약 4.6배, 토마토는 약 25.9배, 피망 등은 약 4.1배, 양파는
약 1.4배 증가하였으며, 이 외에 가지, 마늘 등도 증가하고 있다.
3. 식물검역
상황
최근에
주요 신선채소 주요국의 수입식물검사실적 속보는 다음과 같다.
표
2식물 검역 상황
단위:
톤
2001년
2/19∼25
2001년
2/26∼3/4
2001년
3/5∼11
2001년
3/12∼18
파
검사수량
1,569
1,155
622
540
합격수량
616
712
486
334
불합격수량
953
443
136
206
양파
검사수량
7,294
5,565
6,270
3,657
합격수량
2,962
3,143
3,095
1,602
불합격수량
4,332
2,422
3,175
2,055
토마토
검사수량
32
30
16
33
합격수량
31
30
16
33
불합격수량
1
0
0
0
체리토마토
검사수량
317
195
111
117
합격수량
317
195
111
117
불합격수량
0
0
0
0
피망
검사수량
359
320
438
355
합격수량
341
297
386
308
불합격수량
18
23
52
47
자료: 농림수산부 식물방역소 조사
주
: 1. 주요국(수입검사실적이 많은 나라)에서의 파, 양파, 토마토, 체리토마토(미니토마토)
및 피망의 수입식물검사 실적치이다.
2.
이 수량은 수입식물검사를 통해 집계한 수량이며, 세관통관통계 수치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3.「불합격」은
수입검사 결과, 검역유해동식물 등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불합격되었으며
살충처리 등 소요 검역 조치를 통하여 그 후 합격이 된 것이포함되어
있다.
4. 채소 소비에
대해서
4.1. 1인당
연간 채소공급량의 국제비교
채소의
연간 공급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한국으로 221.0kg/년이다. 각 국의 식문화에 의하면,
이탈리아에서는 「토마토」, 캐나다나 뉴질랜드에서는 「감자」가 가장 많은 등 품목별로
공급량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자료:
http://www.maff.go.jp/work/010131seisan/hyousi.htm에서)
(김상현
ksh3615@krei.re.kr 국제농업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