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2001. 6)
- 저자
- 성명환
- 출판년도
- 2001-06-18
- 목차
-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이 2000/01년도 보다 늘고, 소맥이 약간 줄어들어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0.8% 증가한 18억 4,668만톤이 될
전망이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3,942만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3,331만톤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보다 약
2,000만톤이 감소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4% 늘어난 18억 9,388만톤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대비 0.6% 늘어난 2억
6,423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3%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4,700만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9.7% 감소한 4억 3,942만톤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표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 백만톤
1999/00
2000/2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 5
2001.
6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872.81
1,832.86
1,862.08
1,846.68
0.8
△0.8
공 급
량
2,397.57
2,353.96
2,349.61
2,333.31
△0.9
△0.7
소 비
량
1,876.47
1,867.33
1,890.43
1,893.88
1.4
0.2
교 역
량
280.84
262.66
264.68
264.23
0.6
△0.2
기 말 재 고
량
521.1
486.63
459.18
439.42
△9.7
△4.3
기말재고율(%)
27.8
26.1
24.3
23.2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5, June. 12,
2001.
1.2. 쌀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와 비슷한 3억 9641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대비 3.1%감소한 591만톤 수준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0.8% 늘어난 4억 450만톤으로 전년보다 366만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대비 3.0% 늘어든 2,400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1%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의
수출량은 전년대비 9.1%감소할 전망이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6.0%가 줄어든 1억 2,629만톤이나 기말재고율은 31.2%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1999/00
(실적)
2000/2001
(추정)
2001/02
(전망)
변동율(%)
2001. 5
2001.6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408.21
396.57
399.91
396.41
0.0
△0.9
공 급
량
538.25
535.80
535.51
530.80
△0.9
△0.9
소 비
량
399.02
401.42
404.50
404.50
0.8
0.0
교 역
량
24.06
23.29
24.00
24.00
3.0
0.0
기 말 재 고
량
139.23
134.39
131.01
126.29
△6.0
△3.6
기말재고율(%)
34.9
33.5
32.4
31.2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5, June. 12,
2001.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7,868만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대비 1.6% 감소한 5억 6,935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유럽과
러시아의 생산량은 증가할 전망이나 미국, 캐나다, 중국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944만톤보다 약 43만톤 늘어난 5억 9,375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513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399만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 1억
2,763만톤으로 약간 늘어날 전망이며,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4%가 될 전망이다.
2001/02년에는
소비량의 증가와 생산량 감소로 기말 재고량이 전년대비15.6% 감소한 1억 3,227만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과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6.6%에서 22.3%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1999/00
(실적)
2000/2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 5
2001.6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586.98
578.68
572.35
569.35
△1.6
△0.5
공 급
량
761.68
746.1
731.06
726.01
△2.7
△0.7
소 비
량
594.25
589.44
591.46
593.75
0.7
0.4
교 역
량
135.13
123.99
128.01
127.63
2.9
△0.3
기 말 재 고
량
167.42
156.66
139.6
132.27
△15.6
△5.3
기말재고율(%)
28.2
26.6
23.6
22.3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5, June. 12,
2001.
1.4. 옥수수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9,853만톤으로 전년보다 2.4%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의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대비 2.1% 증가한 6억 1,336만톤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옥수수의 교역량의 경우도 전년보다 2.4% 늘어난 7,924만톤이며,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 13.2%로 전망된다. 전체 교역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64.1%에 이를
전망이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대폭 줄어든 1억 4,312만톤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 유럽의 기말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며,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3.0% 포인트 줄어든 23.3%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톤
1999/00
(실적)
2000/2001
(추정)
2001/02
(전망)
변동율(%)
2001. 5
2001. 6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606.72
584.78
608.55
598.53
2.4
△1.6
공 급
량
779.15
758.93
763.85
756.48
△0.3
△1.0
소 비
량
605.00
600.98
613.28
613.36
2.1
0.0
교 역
량
85.79
77.40
78.59
79.24
2.4
0.8
기 말 재 고
량
174.15
157.95
150.57
143.12
△9.4
△4.9
기말재고율(%)
28.8
26.3
24.6
23.3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5, June. 12,
2001.
1.5.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0/01년에 사상 최대인 1억 7,243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주요 생산국인 중국,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6.1% 늘어난 1억 7,026만톤으로 전망된다.
2000/01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10.1% 증가한 5,095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29.5%에 이를 전망이며, 전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53.2%, 브라질이 26.1%, 아르헨티나가 11.8%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1%에 이를 전망이다.
2000/01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920만톤으로 추정되어 전년의 2,715만톤과 비교하여 205만톤 정도 늘어나고 기말
- 발행처
- KREI
- 발간물 유형
- KREI 논문
- 보고서 번호
- WRD-00180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424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