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호주의 최근 쌀산업 동향

저자
김태곤
출판년도
2001-09-04
목차
1. 쌀 생산은 사상
최고
2000/01년도 호주의
쌀 생산량은 기상조건이 양호하고, 관개용수의 할당량도 풍부하였기 때문에, 식부면적, 단수, 생산량 모두 사상 최고를 기록하였다. 식부면적은
18만 6,000ha, 1ha당 단수는 지금까지의 평균 8.5톤을 약 1톤이나 웃도는 9.44톤, 생산량은 지금까지의 최고였던 139만톤을 크게
웃도는 175만톤이었다. 쌀 저장창고 부족도 문제가 되고 있어 몇 백킬로나 되는 거리를 트럭으로 수송하는 농가도 나타나고
있다.
2. 수출량은 감소
예상
그런데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호주의 쌀산업에 있어서 금년도 수출환경은 밝지 않다. 세계적으로 쌀 재고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쌀의 국제가격 하락,
게다가 미국이 호주의 중요한 프리미엄시장인 일본 및 중동시장에 싼값으로 판매공세를 펼치고 있다. 따라서 금년도 수출량, 수출금액은 각각 전년대비
17.9% 감소한 57만톤, 19% 감소한 353백만 호주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국내에는 작년산 쌀
재고 가 남아 있어 금년도의 톤당 가격은 210 호주달러에서 180 호주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5월 30일 일본에서 '2001년도 제1회 수입쌀
특별매매(SBS)'의 입찰이 실시되었다. 호주 쌀은 전체 낙찰수량 25,000톤의 약 19%에 해당하는 4,640톤이 낙찰되었다. 이 입찰수량은
작년도와 비교해서 거의 같은 양이지만, 입찰가격은 하락하고 있다(가중평균 매입가격 71,100엔/톤, 가중평균 매도가격 267,089엔/톤).
가격이 하락한 배경에는 국제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것과 판매 측인 호주의 쌀 생산자조합이 판매전략의 일환으로서 일본으로 수출량 확대를
도모하고자하는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3. 인스턴트 컵라이스
개발
이처럼 쌀 수급이 완화되고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연방정부 및 쌀 관련업계는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베일 무역부 장관은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쌀 생산자협동조합 대표자의 요청을 근거로 WFP를 통한 해외물자원조에 충당하기 위해
약 1.5만톤의 쌀을 매입할 것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또, 피셔 前무역부 장관은 금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 2000년 6월에 체결한
중국의 WTO 가입을 전제로 한 호주·중국간 양자간 무역협정의 일환으로 쌀 매입을 단행할 수 있도록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쌀 생산자협동조합은 신규
수출국 개척에 열심히 노력하고 있으며, 새롭게 남미에 수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 국내 소비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쌀
제품개발에도 대응하고 있다. 열탕 3분에 완성되는 인스턴트 라이스와 라이스 면의 개발에 성공하여, 금년 5월 이 조합의 브랜드 '선라이즈'의 한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개발담당자는 이 상품은 간편하며, 건강에도 좋은 가정요리의 히어로라고 선전하고 있다. 또, 이 신제품개발에는 쌀
생산자가 조성한 900만 달러에서 충당되고 있다.
4. 쌀 일원매매제도 개선
논의
호주의 쌀은 대부분이
뉴사우스웨일즈주 남부의 리베리나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 주의 주법 '제1차 산품판매법'에 의해 쌀 마케팅보드에 주내에서 생산된 모든 쌀에
대한 국내외 독점판매권이 부여되고 있다(쌀 생산자협동조합에 위탁). 이 일원매매제도는 1996년에 국가경쟁정책에 기초하여 개선이 검토되었지만,
공공의 이익에 충분히 공헌하고 있다고 평가되어 2004년까지 유지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연방정부는 뉴사우스웨일즈 주정부에 대해 쌀의
수출독점권을 유지하는 대신에, 국내시장의 쌀 유통을 자유화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쌀 생산자협동조합은 빅토리아 주에서도 쌀 생산
및 수입(태국, 베트남, 이탈리아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시장에서 경쟁원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을 이유로 연방정부의 제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반대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쌀 무역의 공정화가가 도모되기까지는 국가 경쟁정책에 근거한 일원제매매제도에 대한 규제완화 논의는
지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資料:JETRO, Food
Agriculture, no.2341 (2001. 6.11)에서
(김태곤
taegon@krei.re.kr 국제농업연구실)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255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499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