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2001. 10)
- 저자
- 성명환
- 출판년도
- 2001-11-01
- 목차
-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1/02년도 세계 쌀
생산량은 전년 수준을 유지하고 소맥과 옥수수 생산량이 줄어들지만 보리, 호밀, 수수 등 잡곡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대비 0.1% 증가한 18억 3,258만톤이 될 전망이며, 이는 전월 전망치보다도 약
700만톤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8,414만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1,672만톤으로 전망되어 전년보다 약 3,400만톤 이상이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전년대비로는 1.5% 감소한 수준이며, 전월대비로는 0.1% 증가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6% 늘어난 18억 9,606만톤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소비량이 늘어나 2001/02년도에는 그 차이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대비 1.6% 늘어난 2억 6,855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7%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6,000만톤 이상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3.1% 감소한 4억 2,067만톤 정도로 전월
전망치 보다도 0.4% 증가한 수준이다. 기말재고율도 2000/01년도 25.9%에서 22.2%로 3.7% 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9
2001.10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1871.22
1,830.80
1,825.71
1,832.58
0.1
0.4
공급량
2,393.68
2,350.90
2,314.38
2,316.72
△1.5
0.1
소비량
1,873.58
1,866.76
1,895.30
1,896.06
1.6
0.0
교역량
281.81
264.42
267.92
268.55
1.6
0.2
기말재고량
520.10
484.14
419.08
420.67
△13.1
0.4
기말재고율(%)
27.8
25.9
22.1
22.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9, Oct, 12 2001.
1.2. 쌀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보다 0.6% 줄어든 3억 9,329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쌀 생산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일본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9.7% 증가할 전망이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1% 늘어난 4억 484만톤으로 전년보다 약 400만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대비 0.6% 줄어든 2,342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0%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태국이 전년과 같은 670만톤 수준이나 베트남은 13.2% 증가한 430만톤, 미국도 약간 늘어난 271만톤 수준인 것으로
전망된다.
태국과 미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어서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8.4%가 줄어든 1억 2,596만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이 세계 쌀 재고량의 약 6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1999/00
2000/01
2001/02(전망)
변동율
2001.9
2001.10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408.46
395.69
394.44
393.29
△0.6
△0.3
공급량
541.50
538.62
532.03
530.81
△1.5
△0.2
소비량
398.56
401.11
404.80
404.84
0.9
0.0
교역량
24.06
23.56
23.42
23.42
△0.6
0.0
기말재고량
142.93
137.52
127.23
125.96
△8.4
△1.0
기말재고율(%)
35.9
34.3
31.4
31.1
△9.2
△1.0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9, Oct. 12, 2001.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7,925만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대비 1.4% 감소한 5억 7,120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러시아의
생산량은 증가할 전망이나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848만톤보다 약 550만톤 늘어난 5억 9,397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516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380만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는 다시 1억
2,836만톤으로 전년대비 3.7%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5%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소비량은
증가하나 생산량이 감소하여 기말 재고량은 전년대비 14.3% 감소한 1억 3,613만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요 밀
생산국인 미국, 중국,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7%에서 22.9%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1999/00
2000/01
(추정)
2001/02
변동율
2001.9
2001.1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586.19
579.25
571.07
571.20
△1.4
0.0
공급량
760.65
747.39
729.54
730.10
△2.3
0.1
소비량
592.52
588.48
595.06
593.97
0.9
△0.2
교역량
135.16
123.80
128.54
128.36
3.7
△0.1
기말재고량
168.14
158.90
134.48
136.13
△14.3
1.2
기말재고율(%)
28.4
27.0
22.6
22.9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9, Oct. 12, 2001.
1.4. 옥수수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8,385만톤으로 전년보다 0.4% 감소하며, 전월 전망치보다는 0.8%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중국, 유럽, 멕시코,
동남아시아의 생산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미국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6억 1,643만톤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3,258만톤 정도를 초과할 전망이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01% 감소한 8,284만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2%가 될 전망이다. 전체 교역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2.9%, 12.9%로 이들 두 국가가 약 75%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21.1% 줄어든 1억 2,147만톤으로 전년보다 약 3,300만톤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아르헨티나, 유럽의 기말재고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에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약 6% 포인트 줄어든 19.7%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9
2001.10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607.02
586.05
579.19
583.85
△0.4
0.8
공급량
776.14
756.99
734.65
737.90
△2.5
0.4
소비량
605.20
602.94
616.15
616.43
2.2
0.0
교역량
85.83
82.94
81.48
82.84
△0.1
1.7
기말재고량
170.94
154.05
118.50
121.47
△21.1
2.5
기말재고율(%)
28.2
25.5
19.2
19.7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9, Oct. 12, 2001.
1.5.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1/02년에 사상 최대인 1억 8,067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두 생산국의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4.9% 늘어난 1억 7,994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이 소비량을 약 73만톤 정도 상회할 전망이다.
2001/02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5.0% 증가한 5,731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1.7%에 이를 전망이며, 전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46.5%, 브라질이 30.5%, 아르헨티나가 14.0%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1%에 이를 전망이다.
2001/02년도 미국의 수출비중은 약간 줄어들고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비중은 늘어날 전망이다.
2000/01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904만톤으로 추정되어 전년의 2,852만톤과 비교하여 1.8%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소비량이 생산량보다 더 크게
늘어나 기말재고율은 전년의 16.6%에서 16.1%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표 5 국제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1999/00
2000/2001
(추정)
2001/2002
변동율
2001.9
2001.10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159.85
173.18
175.44
180.67
4.3
3.0
공급량
186.49
199.82
203.81
209.19
4.7
2.6
- 발행처
- KREI
- 발간물 유형
- KREI 논문
- 보고서 번호
- WRD-00308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552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