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일본의 월간 채소산업 정보(2002. 1)

저자
김상현
출판년도
2002-02-20
목차
1. 일본 중국간 농산물 세이프가드문제
타결
일본은 파 등 3품목의
세이프가드 문제에 대해서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협의를 실시한 결과, 2001년 12월 21일 타케베(武部) 농림수산성
장관, 히라누마(平沼) 경제산업성 장관과 중국의 石廣生
대외무역경제합작부 장관간에 합의가
성립되었다.
그 동안 중국측과 조정을
거쳐, 제1회 협의회를 2002년 2월 7일, 8일에 중국 상해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 일본측은 생산자단체 및 수입업자단체의 대표자, 관계성청
담당자가 참가한다. 이 협의에 참가하는 일본측 수입업자단체가 지난 1월 22일 오오사카(大板)에서 파 등 3품목의 수입업자들에 의한 품목별
수입협의회를 구성하였다.
1.1. 파 등 3품목의 일중농산물무역협의회
개최
파 등 3품목에 관한
일중농산물무역협의회는 2월 7일, 8일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다. 본 협의회에서는 일본측에서 생산자단체 및 수입업자단체의 대표자, 관계성청
담당자(농림수산성, 외무성, 재무성, 경제산업성)가 참가하는 방향으로 현재 최종조정 중이다.
1.2. 파 등 3품목의 수입업자단체
성립
일중농산물무역협의회에는
수입업자도 참가하게 된다. 그러나 3품목의 수입업자를 대표할 수 있는 단체가 없기 때문에 경제산업성과 농림수산성은 품목별 수입업자단체의 구성을
지원하여 왔다.
금년 1월 22일
오오사카에서 품목별 수입협의회의 설립 총회가 개최되어, 다음과 같이 수입협의회가 설립되었다. 각 품목별로 주요 수입업자에 의한 설립준비위원회가
이미 개최되었고, 준비위원회에 의해 모든 수입업자에게 설립총회의 안내가 통보되었다.
설립총회에서는 향후
3품목의 수입업자대표로서 일중농산물무역협의회 등에 참가하는 것 등이 결정되었다.
① 파 수입협의회(1월
22일 현재, 전원 611개사)
대표 간사 伊승忠商社(주)
대표 부간사 大阪丸促靑果(주), 후지타카연대(주)
② 생표고수입협의회(1월
22일 현재, 회원 55개사)
대표 간사 (주)와타리
대표 부간사 伊승忠商社(주), (주)天津大榮, (유)마루
③ 골풀 등
수입협의회(1월 22일 현재, 회원 72개사)
대표 간사 (주)土倉商事
대표 부간사 (주)이시다, 中道貿易(주)
2. 채소
가격ㆍ생산동향
2.1. 전체
추동채소 가격은 지난해
10월 이후 전국적으로 양호한 기후의 영향으로 주요 산지의 생육은 호조를 보이고, 출하량이 많고 경기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저조하기 때문에
1월 상ㆍ중순 시황은 평년을 2할 정도 하회하는 수준으로 추이하고 있다.
2.2. 근채 및
엽경채류
무, 당근, 배추,
시금치, 파는 관동산을 중심으로 양배추, 양상치는 관동 및 관동 이서산을 중심으로 출하되고 있으며, 각 산지 모두 기후가 양호하기 때문에 생육은
순조로우며, 평년을 하회하는 가격대이다.
2.3. 과채류
오이, 토마토, 피망 등
과채류는 서남 난지산을 중심으로 양호한 기후로 출하량도 많아 1월 이후는 종합적으로 평년을 하회하는 가격대이다.
3. 신선채소
수입동향
2001년 1∼12월의
신선채소 수입량은 97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05%, 2001년 11월의 수입량은 7만 6천톤으로 전년동기대비 83% 수준이다.
표 1 연도별 채소
생산동향
1996
1997
1998
1999
2000
도매가격(엔/kg)
155
154
195
163
145
생산액(억엔)
22,986
23,090
25,953
22,395
21,124
식부면적(천ha)
524
514
506
502
484
수확량(만톤)
1,462
1,431
1,364
1,387
1,370
자료:도쿄청과물정보센타「청과물유통연보」
농림수산성「생산농업소득통계」,「채소생산출하통계」
주:⑴
도매가격은 동경중앙도매시장 지정채소 14품목의 평균가격
⑵ 식부면적 및 수확량은 식료수급표 기준 50품목의
합계
표 2 지정채소 도매가격
동향
2001년 11월
상중순
2001년 12월
상중순
2002년 1월
상중순
가격
(엔/kg)
전년대비
(%)
평년대비
(엔/kg)
가격
(엔/kg)
전년대비
(%)
평년대비
(엔/kg)
가격
(엔/kg)
전년대비
(%)
평년대비
(엔/kg)

51
75
73
42
54
61
56
56
68
당근
91
71
71
72
75
81
71
65
72
배추
30
81
61
26
68
62
29
44
52
양배추
47
70
59
62
54
69
82
64
86
시금치
301
80
89
286
57
80
433
88
108

248
165
109
185
128
85
204
96
76
양상추
105
64
62
148
44
60
259
65
97
오이
222
52
70
224
61
58
308
58
75
가지
330
101
83
385
89
81
385
79
98
토마토
294
85
71
267
68
67
263
75
73
피망
269
68
68
233
51
58
399
65
83
감자
86
86
81
78
74
74
89
78
75
토란
187
99
106
169
92
93
189
101
97
양파
64
83
81
63
78
79
66
75
78
지정채소계
114
82
78
106
69
72
140
71
82
자료:
도쿄청과물정보센터「도쿄중앙도매시장의 산지별 입하수량 및 가격」
주:'평년대비' 란 과거 5년간 순별가격 평균치와 당해 순 가격과의 비율임.
표 3 주요 신선채소
수입량
단위:천톤
1996
1997
1998
1999
2000
신선채소계
양파
호박
우엉
브로콜리
생강
당근ㆍ무청
파 등
메론
마늘
아스파라거스
피망 등
토마토
가지
630
184
144
-
74
31
30
9
27
24
22
4
1
0
573
175
136
-
72
33
13
9
24
25
21
6
1
0
740
205
129
-
75
30
34
18
29
27
20
9
4
1
885
223
154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359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03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