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EU E-number로 식품첨가물 표시

저자
박성준
출판년도
2002-03-18
목차
EU는 2001년부터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보다 명확히 표기하기 위해 모든 식품첨가물에 대해 E-number라는 일련번호를 가공식품에 표시하도록
조치하였다.
EU가 이와 같은
표시제를 도입하게 된 것은 식품가공회사들로 하여금 생산과정에 대해 보다 엄격한 첨가물 사용을 강제하는 한편, 소비자들에게는 구매하려는 식품에
관한 정보를 보다 정확히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안정성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E-number는
식품첨가물 각각에 대해 고유번호를 부여하게 되며, 서로 연관성이 있는 식품첨가물들은 E-470a나 E-470b처럼 확장된 번호가 부여된다.
'E'는 'EU'를 가리킨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고유번호 부여는 안전성 평가를 담당하는 EU '식품과학위원회(SCF / The Scientific Committee on Food)가 첨가물
사용에 관해 승인을 하면, EU집행위원회가 승인된 식품첨가물에 대해 E-number를 부여하게 된다.
E-number는
가공식품에 직접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에 대해서만 부여된다. 미국에서 간접첨가물이나 부가첨가물로 분류되는 생화학 효소나 가공 보조제와 같은
첨가물들은 E-number 시스템에서는 식품첨가물로 포함되지 않는다.
E-number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100-199 :
식품 색상
○ 200-299 :
방부제
○ 300-399 :
산화방지제, 인산염, 착화제
○ 400-499 :
접착제, gel 형성제, 인산염, 보습제, 유화제
○ 500-599 :
소금 또는 소금유사 함유물
○ 600-699 :
조미료
○ 700-899 :
가공식품에 사용되지 않는 사료용 첨가물
○ 900-999 :
표면 코팅제, 가스, 인공 감미료
○ 1000-1399 :
혼합 첨가물
○ 1400-1499 :
전분 유도체
EU는 가공식품
생산과정에서 기술적으로 투입된 원재료들 속의 식품첨가물에 대해서는 반드시 라벨링하여 표시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는 방부제, 접착제, 유화제
등 뿐만 아니라 착색, 감미, 향기 등을 강화하는 기능을 갖는 첨가물들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E-number
시스템은 이슬람 권의 식품소비자들을 고려해 식품첨가물에 Halal Status를 표시하고 있다. 이슬람에서는 종교적 교리에 따라 돼지고기나
알코올이 함유된 식품에 대해 Halal이라는 표시를 통해 무슬림이 먹어도 되는 식품을 나타내고 있으며, Haram이라는 표시는 알라의 이름으로
잡지 아니한 짐승, 돼지, 술, 담배, 개, 뱀 등이 포함된 식품으로서 무슬림이 먹어서는 안되는 식품을 의미한다.
EU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 Halal Status를 Q1과 Q2로 구분하고 있다. Q1에 속하는 첨가물들의 원재료는 대개 식물오일, 동물지방 혹은 이들의
합성물로서, 많은 경우 글리코겔과 다른 화학물질을 여러 가지 동물지방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첨가물들은 근본적으로 의문점이 많이
남는 원재료들로서, 소비자들은 이러한 원재료들을 사용하는 식품제조업체들에 대해 Halal인지 아닌지를 증명할 필요가 있다.
한편, Q2에 속하는
원재료들은 식물 단백질, 동물 단백질 그리고 생물공학에 의한 혼합원료들로부터 만들어진다. 여기서 기본 원재료는 화학적으로 추출된 아미노산들이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원재료들에 대해서도 제조업체들이 명료히 정체를 밝혀 Halal인지 아닌지를 증명해 줄 것을 원하고
있다.
표 1 공통적인 식품첨가물의
E-number 목록
E-number
Description
Category
Halal
Status
E-304
Fatty acid easters
of ascorbic acid
산화방지제
Q1
E-322
Lecithnins
유화제
Q1
E-422
Glycerol
Q1
E-431
Polyoxyethylene(40)
stearate
Q1
E-43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유화제
Q1
E-433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유화제
Q1
E-434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polysorbate40)
유화제
Q1
E-435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polysorbate60)
유화제
Q1
E-436
Polyoxyethylene
sorbitan tristearate (polusorbate65)
유화제
Q1
E-442
Ammonium
phosphatides
유화제
Q1
E-445
Glycerol easter of
wood rosins
유화제
Q1
E-470a
Sodium, potassium
and calcium salt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0b
Magnesium salt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1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2a
Acetic acid easter
of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2b
Lactic acid easter
of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number
Description
Category
Halal
Status
E-472c
Citric acid easter
of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2d
Tartaric acid easter
of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2e
Mono and
diacetyltartaric acid easters of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2f
Mixed acetic and
tartaric acid easters of mono-and di-glyceride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3
Sucrose easter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4
Sucroglyserides
유화제
Q1
E-475
Polyglycerol
easter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6
Polyglyserol
polyricionleate
유화제
Q1
E-477
Propane-1,2-diol easters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79
Thermally
oxidized soya bean oil interacted with mono-and diglyceroride of fatty
acids
유화제
Q1
E-481
Sodium
stearoyl-2-lactylate
유화제
Q1
E-482
Calcium
stearoyl-2-lactylate
유화제
Q1
E-483
Stearyl
tartrate
유화제
Q1
E-491
Sobitan
monostearate
유화제
Q1
E-492
Sobitan
tristearate
유화제
Q1
E-493
Sobitan
monolaurate
유화제
Q1
E-494
Sobitan
mono-oleate
유화제
Q1
E-495
Sobitan
monopalmitate
유화제
Q1
E-570
Fatty
acids
Q1
E-620
Glutamic
acid
조미료
Q2
E-621
Monosodium
glutamate
조미료
Q2
E-622
Monopotassium glutamate
조미료
Q2
E-number
Description
Category
Halal
Status
E-623
Calcium
diglutamate
조미료
Q2
E-624
Monoammonium
diglutamate
조미료
Q2
E-625
Magnesium
dislutamate
조미료
Q2
E-640
Glycine and
its sodium salt
조미료
Q2
E-920
L-Cysteine
hydrochloride
반북조정제
Q2
E-951
Aspartame
인공감미료
Q2
E-1518
Glycerol
triacetate(triacetin)-Propa-1,2-diol(propyene glycol)
다목적
Q2
자료:www.justfood.com
자료 :
Just-food.com에서
(박성준
funfair@terrami.org 지역아카데미)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375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19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