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곤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47:47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47:47Z | - |
dc.date.issued | 2004-09 | - |
dc.identifier.other | M45-49-04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8113 | - |
dc.description.abstract | 중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 곡물생산 증가로 곡물가격이 하락하고, 곡물수익성이 급속히 저하됐다. 때문에 2000년부터 생산부진기에 돌입했다. 특히 2대 작물인 쌀과 소맥 생산은 급속히 침체되어, 2000년부터 2003년 사이의 2작물의 생산 감소율은 각각 15%, 13%를 기록하였다. 그 중에서 쌀 식부면적이 눈에 띄게 감소하였고, 기존에 2기작을 했던 지역이 1기작으로 전환된 데 따른 식부감소도 그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사료작물인 옥수수는 수요호조 덕분에, 같은 기간동안 단수와 식부면적이 증가하여 9% 증산을 기록했다. 또한 대두는 단수증가로 생산이 늘었지만, 착유대두 수요가 급속히 늘어나, 2002년 이후 생산량을 넘는 다량의 대두가 수입되었고, 2003년에는 과거 최대인 2,074만 톤의 수입을 기록하여 대두 자급률은 44%로 떨어졌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중국의 곡물생산 동향을 정리한다. (자세한 내용 본문참조)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중국, 곡물생산 최근동향 | - |
dc.type | KREI 논문 | - |
dc.subject.keyword | 곡물생산 | - |
dc.subject.keyword | 생산동향 | - |
dc.subject.keyword | 중국 | - |
중국, 곡물생산 최근동향.pdf
결과 데이터 / 190.11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