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농가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변인과 사회경제적 변인을 통제한 가운데, 특히 정보화수준과 친환경농업이 농가 소득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소득 수준에 대한 지역간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서 만약 다중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경우 공간적 종속성 등과 같은 통계적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화수준의 지역발전에 대한 효과는 개별 농가수준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농가에 대한 농업소득에 지역별 분포에 대한 기울기는 0.1714로 겸업농가의 0.1009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보화수준의 진작은 특히 겸업농가의 농업소득에 비해 전업농가의 소득수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개별 농가의 정보화수준이 겸업농보다는 전업농에서 더욱 소득 진작효과가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분석결과로 여겨진다. 즉, 정보화수준의 제고는 개별 농가의 소득증대는 물론 지역적 차원에서의 농업소득 증진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평균적 농업소득을 올리고 있는 개별지역 농가의 친환경농업과의 관련성의 결과가 부(-)의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의 효과는 특히 전업농에 비해 겸업농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울기의 크기는 전업농의 -0.0429에 비해 약 3배 이상 큰 -0.1338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 전자상거래나 인터넷을 통한 농촌 또는 농산물의 홍보 및 판매효과가 매우 크다는 측면에서 정통부와 농림부를 중심으로 한 농촌의 정보화정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가의 정보화수준의 진작을 위한 정책적 배려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정보화수준의 제고가 전업농의 농업소득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측면에서 전업농의 정보화수준의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친환경농업의 채택이 일반 농가의 농가소득 증대에 별다른 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것은 유의해야할 분석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친환경농업 채택에 따른 전업농의 농업소득 보전 가능성이 겸업농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측면에서 친환경농업을 통한 농업소득 진작 정책은 전업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가 상대적으로 친환경농업의 적용이 제한적이었던 2000년 당시의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는 측면, 그리고 농가규모별 친환경농업 채택에 따른 농업소득을 분석하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보다 직접적인 정책 대안 제시에는 아직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곧 이용 가능하리라 예측되는 2005년 농업총조사자료를 이용한 최근의 동향 분석, 그리고 농가규모 및 작목별 친환경농업에 따른 농업소득의 증진에 대한 분석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특히 관련 변인에 대한 이용이 가능한 1995년 이후 자료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은 향후 시장 동향예측을 위해 매우 필요한 연구로 판단된다. The major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explore the major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farm household income in Korea, focusing particularly on eco-friendly farming and computer usage. We utilized the Korea Agricultural Survey Data for 2000. The present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ffects of eco-friendly farming and digital competence on the agricultural income. The study applies a multi-level linear model that can incorporate diverse spatial heterogeneities as well as individual differences. While computer us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gricultural income, we found that eco-friendly farming shows negative effects on the agricultural income. We also found that while diverse determinants were proved to be important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level of agricultural income, there are big differences among regions in the agricultural income depending on its determinants. Based on such findings, the present study concludes by introducing several policy implication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론
4. 자료 및 변인
5. 분석 결과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