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정보 조사시스템 성과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영문 제목
- An Empirical Study on the Analysis of Performance Factors of Agricultural Outlook Information System
-
저자
- 김상태; 채명신
-
출판년도
- 2008-01
-
초록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과요인 분석을 설명하는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 Success Model)과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합리적 이용행태를 설명하는 기술수용모형(Technical Acceptance Model)을 응용하여 농업관측사업에서 매월 정보를 입력하는 모니터요원을 대상으로 농업관측정보조사시스템의 성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관측정보 조사시스템을 이용하는 농업관측사업 모니터요원들은 이 정보시스템을 통해 관측업무 수행시간 단축과 정보의 가공정도가 높아졌다는 점 그리고 기존의 조사체계 보다 업무처리 및 입력방식이 표준화되었다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평가결과를 이용자의 정보시스템 만족도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 기존 Delone & Mclean 모형이나 Seddon 모형과 같은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이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이용자 환경에 대한 변수와 농업관측정보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이용자의 정보시스템 사용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두 요인은 이용자의 정보시스템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TAM이론과 일치된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는 설정된 연구모형이 농업관측 모니터들의 농업관측정보조사시스템 이용행태를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농업관측정보 조사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환경의 내부변수와 정보시스템 측면의 외부변수 간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품질은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니터요원들이 농업관측정보에 대한 정보의 중요성이 사용자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으로 투영되어 실제적인 사용에 결과로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서비스 품질은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농업관측정보조사시스템의 운영자들의 서비스 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용자 교육 강화 및 사용자의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시스템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H/W, 통신망 그리고 프로그램 성능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정보서비스에 대한 품질관리를 위한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농업관측 정보조사시스템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그 성과를 도출하고 주요 평가요인별로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제시한 사례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농업관측사업에 있어서 농업관측정보 조사시스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정보시스템을 통해 정보수집에 있어 더 정확하고 시의 적절한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정보시스템의 실제 사용자인 모니터요원의 사용행태 분석을 통해 정보시스템의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시스템 측면의 각 요인별로 보면, 시스템 품질 측면과 정보품질 측면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들 요인에 대한 시스템 개선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Outlook Information Survey System (AOIS). I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Technical Acceptance Model. It also suggested an empirical model and tested it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PLS-graph based on the survey data of 148 respondents who have worked with the AOIS.
The major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quali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Second, service quali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ease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Four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have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ifth, us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overal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for the performance of AOIS; however, some weak points were found with respect to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
목차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
서지인용
- page. 19 - 43
-
발행처
- 한국벤처정보대학원
-
주제어
- 정보시스템 성공모형; 기술수용모형;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echnical acceptance model;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
발간물 유형
- KREI 논문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8793
-
Appears in Collections:
- 학술지 논문 > 농촌경제 / JRD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 Files in This Item:
-
농업관측정보 조사시스템 성과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pdf (461.99 kB)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