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유찬희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55:06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55:06Z | - |
dc.date.issued | 2008-05 | - |
dc.identifier.other | M45-92-0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8823 | - |
dc.description.abstract | 독립국가연합은 국제곡물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장기적으로 곡물 생산 면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단수와 유휴지 이용도에 영향을 받는다.1990년대 이후 이용하지 않은 유휴지 규모와 단수 등을 고려할 때 매우 큰 곡물 생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들 국가의 곡물 생산량은 2016년 159∼164백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에 따라 곡물 수출국으로의 위상도 유지할 전망이다. 다만 최근 수익성이 높은 유지작물의 재배 증가와 기후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고, 낙후된 정부 정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독립국가연합(CIS)의 곡물 생산 및 수출 잠재력 | - |
dc.type | KREI 논문 | - |
독립국가연합(CIS)의 곡물 생산 및 수출 잠재력.pdf
결과 데이터 / 566.06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