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농업인이 어떤 유형의 학습 방법에 얼마나 참석하고 있으며, 학습 활동이 어떻게 영농 실천과 관계하는지를 구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70세 미만 쌀, 과수, 채소, 축산 분야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모든 농업인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농업인이 70세 미만이고, 또한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 비중의 대부분을 쌀, 과수, 채소, 축산 품목이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일반화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농업인의 영농 특성은 비형식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분석 결과, 비형식 학습의 참여와 관련하여 전문가 자문의 경우는 예외였지만 농업인의 영농 경력, 영농 규모에 따라 교육?훈련 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었고, 영농 경력, 영농 품목, 영농 경력에 따라 학습 조직 참여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중견 경력(11~30년)의 농가 그리고 대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활발한 교육?훈련 참여가 있었고, 역시 중견 경력의 농가 및 대규모 농가 그리고 과수?채소?축산 농가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습 조직 참여가 있었다.
둘째, 농업인의 영농 특성은 무형식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분석 결과, 무형식 학습 참여와 관련하여 이웃 농가와 논의나 방송매체 활용 등은 예외였지만, 인쇄매체 구독은 영농 경력에 따라, 인터넷 검색은 영농 경력, 영농 품목, 영농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관련 행사 참석은 영농 경력과 영농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견 경력의 농가일수록 인쇄매체 구독률이 높았고, 채소?과수 농가 및 영농 경력이 적은 농가 그리고 대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인터넷 검색 빈도가 높았다. 중견 경력의 농가와 채소?축산 농가를 중심으로 관련 행사 참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농업인들에게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학습 활동은 이웃 또는 학습 조직을 통한 주변 농가들과의 대화 그리고 영농관련 서적, 신문, 잡지 등 인쇄 매체 구독 등이다. 학습의 형식(비형식, 무형식)에 관계없이 농업인들이 평소 참여할 수 있는 학습 유형에 대하여 활용 빈도를 조사한 결과 이웃과 논의, 학습 조직, 인쇄매체 활용, 교육?훈련, 방송매체 활용, 전문가 자문, 인터넷 검색, 영농관련 행사 참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중 과반수 이상의 농업인이 활용하는 방법은 이웃 농가와의 논의, 학습 조직, 인쇄매체 구독이었다.
넷째, 농업인의 영농 품목은 영농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 분석 결과, 농업인의 영농 실천은 영농 품목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쌀 농가의 영농 실천이 다른 작목 농가보다 월등이 많았다. 그러나 영농 경력이나 영농 규모에 따라서는 영농 실천에 차이가 없었다. 한편 농업인들의 영농 실천은 영농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기술 영역에 대한 영농 실천은 활발한 반면 경제 영역과 사회?조직 영역의 영농 실천은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농업인의 영농 실천은 학습 활동 참여에 의해 많은 부분이 설명 가능한데, 비형식 학습보다는 무형식 학습의 설명력이 높다. 농업인의 영농 특성을 통제한 비형식 학습, 무형식 학습 활동의 영농 실천에 대한 설명 정도를 분석한 결과 비형식 학습은 14.0%, 무형식 학습은 22.3%를 설명하고 있었고, 학습 활동 전체는 영농 실천을 30%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여섯째, 이웃 농가와의 논의, 전문가 자문, 인쇄매체 구독을 자주 하고, 교육?훈련에 많이 참석하지만 각종 회의?세미나?전시회 등의 영농 관련 행사에는 적게 참석하는 농업인 일수록 현장에서 영농 실천을 많이 한다. 여덟 가지 비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의 세부 방법들이 개별적으로 얼마나 영농 실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웃 농가와의 논의, 전문가 자문, 인쇄매체 구독, 교육?훈련, 인터넷 검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양의 관련이 있었고, 영농관련 행사 참석은 음의 관련이 있었다.
농업인의 학습 그리고 영농 실천과 관련하여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의 보완 및 발전을 위해 다음의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먼저 농업인의 무형식 학습에 대한 추가 연구를 제언한다. 이 연구에서 구명한 바와 같이 농업인들이 가장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영농 실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농업인의 학습 활동은 이웃 농가와의 논의, 인쇄매체 구독, 인터넷 검색 등과 같은 무형식 학습이었다. 농업인 학습이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영농 현장에서 일어나는 무형식 학습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농업인들의 요구는 무엇인지를 추가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농업인 학습 조직, 전문가 자문과 같은 비형식 학습에 대한 추가 연구를 제안한다. 이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농업인 학습 조직은 농업인이 가장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비형식 학습 유형이었지만, 영농 실천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지지 못하였다. 한편 전문가 자문은 가장 활용율이 낮은 비형식 학습 유형이었지만, 영농 실천과는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농업인들의 학습 조직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전문가 자문의 구체적인 강점은 무엇인지 추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농업인 학습의 효과와 관련한 추가 연구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과 영농 실천의 관계 구명을 통해 학습 효과의 일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농업인 학습 효과를 보다 엄밀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영농 실천을 넘어 실제로 얼마나 경영상의 이득에 기여하는지, 그리고 무형의 성과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on-farm implementation of farmers. For the purpose, the study surveyed 485 farmers under 70 years old. Survey results indicated farmers' farming characteristics such as career, commodity, and farm size affect their participations i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nonformal learning activities; discussion with neighbor farmer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readings are more common learning activities than education and training; farmers' on-farm implementations depend on farming characteristics such as commodity and farm size; technical farming implementations are found more commonly than economic or social organizational farming implementations; lots of farmers’ on-farm implementations are explained by their learning, specially informal learning rather than nonformal learning; more practical are farmers having more discussion with their neighbor farmers, seeking more professionals' advices, reading more frequently, participating more in education and training but less in seminar, conference or exhi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