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용-
dc.date.accessioned2018-11-15T09:34:08Z-
dc.date.available2018-11-15T09:34:08Z-
dc.date.issued2010-04-
dc.identifier.otherRE33-1-02-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9328-
dc.description.abstract식품소비의 다양성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파악하는 것은 기업의 제품차별화 전략이나 새로운 제품개발 측면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을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보건영양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식품다양성에 대한 소비자 수요의 동태적인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코호트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식품소비의 다양성이 연령별로 그리고 세대별로 어떠한 변화 형태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3년간의 가계조사 원자료를 토대하여 가구주의 출생시기에 의해 구축된 코호트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소비 다양성의 연령별 변화패턴은 역 U자 형태의 전형적인 생애주기 패턴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구주의 연령이 40세를 전후하여 식품다양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패턴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품소비의 다양성 변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엔트로피 지수에 의해 측정된 식품소비의 다양성 수준을 연령효과, 코호트(세대)효과, 연도효과로 분해하여 살펴본 결과, 연령효과와 세대효과가 다양성 변화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 다양성의 변화 요인 가운데 세대효과의 경우 젊은 세대일수록 식품소비의 다양성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소비의 다양성은 젊은 세대로 올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점은 지난 13년간 우리나라 가구의 식품소비에서 다양성이 감소해온 것이 세대 간의 차이에 기인한 것임을 시사한다. 넷째, 이러한 세대 차이에 기인한 식품소비의 다양성 감소 경향은 식품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구의 인구사회적 특성의 변화나 표본구성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우리나라 사회에서 신세대일수록 식품다양성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으며 향후 인구 고령화 정도가 더욱 심해질 것을 감안할 때 식품다양성에 대한 수요의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된다. 따라서 식품 제조기업이 이윤 확대를 위해서는 연령별(또는 세대별) 식품시장의 세분화전략이 필요하며, 연령별 또는 세대별로 세분화된 시장별로 색다른 상품구색을 제공한다거나 제품을 차별화하기 위한 마케팅전략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식품다양성이 감소해 왔다는 사실은 국민의 영양과 보건을 담당하는 식품관련 정책당국이 향후 관련대책의 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식품다양성의 연령별 또는 세대별 변화패턴을 고려하여 연령별 또는 세대별로 적절한 식품의 공급이나 영양개선대책, 식품공급의 안정성(food security) 확보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dc.description.abstractUnderstanding diversity in food consumption is important both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and from a nutritional consideration. The analysis of food diversity is especially valuable if food diversity can be observed over the life cycle, because consumption levels differ amongst successive birth cohort observed at the same age. This paper describes the dynamics of consumers' demand for food diversity in Korea present in the series of repeated cross-section of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for the period 1995-2007. Differently from other studies, I use household data rather than cohort means to carry out a cohort-age-time decomposition of demand for food diversity in a life cycle model. An entropy index was used to evaluate food diversity of sample household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 the diversity in food expenditure has been decreased over 1995-2007, (ii) food diversity increases until the ages of 30-34, while it decreases after the ages of 35-39, (iii) younger generations have less demand for food diversity, thus implying that the decrease in food diversity is due to the difference in generations, and iv) the cohort effect was not affected by introducing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into the model for food diversity dema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 론 2. 코호트 구축과 식품소비의 다양성 측정방법 3. 식품소비의 다양성에 대한 코호트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식품 소비지출의 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령-세대-연도 효과 분석-
dc.typeKREI 논문-
dc.subject.keyword식품소비(food consumption)-
dc.subject.keyword다양성(diversity)-
dc.subject.keyword코호트분석(cohort analysis)-
dc.subject.keyword엔트로피지수(Entropy index)-
dc.subject.keyword연령효과(age effect)-
dc.subject.keyword코호트효과(cohort effect)-
dc.subject.keyword연도효과(time effect)-
dc.subject.keyword식품소비(food consumption)-
dc.subject.keyword다양성(diversity)-
dc.subject.keyword코호트분석(cohort analysis)-
dc.subject.keyword엔트로피지수(Entropy index)-
dc.subject.keyword연령효과(age effect)-
dc.subject.keyword코호트효과(cohort effect)-
dc.subject.keyword연도효과(time effect)-
Appears in Collections:
학술지 논문 > 농촌경제 / JRD
Files in This Item:
식품 소비지출의 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령-세대-연도 효과 분석.pdf (494.51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