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국내 바이오매스 이용 실태와 활성화 방안

저자
윤영만
출판년도
2014-02-14
초록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 간 패널(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은 2012년 특별보고서를 통해 세계 에너지 이용 현황을 조사·발표하였다. 2008년 기준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은 492EJ로서 이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약 10.8%이며, 바이오에너지의 비중은 10.2%(50.2EJ)로 태양, 해양, 풍력, 수력, 지열 에너지의 총합의 약 3.8배에 해당한다. 바이오에너지 중 농업부문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이용하는 비중이 약 13%이며, 가축(동물) 부산물 3%, 농업부산물 4%, 에너지작물 3%로 나타나고 있다.
2012년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추정한 2010년 기준 국내 바이오매스 발생 잠재량은 27,362천TOE다. 특히 농림축산 부문의 바이오매스 발생 잠재량이 전체의 82.8%를 차지한다. 본 원고에서는 간략히 세계 바이오매스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바이오매스 관리 체계 및 활용 현황과 더불어 향후 활성화 방안을 정리하였다.
목차
1. 바이오매스 발생 잠재량
1.1. 바이오매스란?
1.2. 세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현황
1.3. 국내 바이오매스 관리 체계
1.4. 국내 바이오매스 잠재량

2. 바이오에너지 기준 및 범위
2.1. 바이오에너지 전환 기술
2.2. 바이오에너지 기준 및 범위
2.3. 바이오에너지 범위(안)

3. 국내 바이오매스 활용 실태
3.1. 국내 바이오에너지 공급 현황
3.2. 임산 바이오매스 활용 실태
3.3. 농산 바이오매스 활용 실태
3.4. 축산 바이오매스 활용 실태

4. 국내 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방안
4.1. 농산 바이오매스 관리 법령 제정
4.2. 바이오매스 타운 사업 추진
4.3. 에너지 전환 및 이용 체계 확립

5. 맺음말
서지인용
page. 73 - 97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E03-2014-2-05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627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