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임송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58:14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58:14Z | - |
dc.date.issued | 2015-06-19 | - |
dc.identifier.other | E03-2015-06-0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199 | - |
dc.description.abstract | 아프리카의 낮은 평균단수에도 불구하고 식량안보 확충과 빈곤감축의 유용한 수단으로서 유기농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농업이 아프리카 식량안보와 빈곤완화 등 이른바 새천년 개발목표에 유용한 수단이 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기대와 우려가 교차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아프리카 유기농업의 추이와 유기농산물 인증에 관한 일부국가들의 사례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문제 제기 2. 유기농업 관련 단체와 그 활동 3. 유기농업의 추이 4. 유기농업 관련 제도와 인증 사례 4.1. 탄자니아 - PGS 조치 4.2. 남아프리카공화국 - 그룹인증 방식 4.3. 우간다 - 커피인증 5.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아프리카 유기농업 추이와 시사점 | - |
dc.type | KREI 논문 | - |
아프리카 유기농업 추이와 시사점.pdf
결과 데이터 / 460.94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