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유지은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0:00:12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0:00:12Z | - |
dc.date.issued | 2016-01-15 | - |
dc.identifier.other | E03-2016-01-0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359 | - |
dc.description.abstract | 스마트 농업을 개념화하면 농업 가차시슬 전반에 걸쳐서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접목을 통해서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는 것을 총칭한다. 우리나라 농업․농촌에 과학기술 및 ICT를 접목 하는 사업의 흐름은 박근혜정부에 이르러서 보다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창조경제의 핵심 개념이기 때문이다. 140개의 국정과제 중, 5개 분야에서 농업농촌 관련 핵심과제를 추진함으로써 기존 생산 중심의 농업에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융복합산업으로의 전환에 주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스마트농업의 현황과 주요과제를 살펴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스마트 농업의 개념과 필요성 1.1. 스마트 농업의 개념 1.2. 스마트 농업의 필요성 2. 스마트 농업의 전개과정 및 특성 2.1. 스마트 농업과 관련된 정책 현황 2.2. 스마트 농업 관련 과학기술 추진 현황 2.3. 통합 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 현황 3. 스마트 농업의 유형별 단계별 현황 및 수요 기반 3.1. 스마트 농업의 유형별 사례 3.2. 스마트 농업의 단계별 현황 3.3. 스마트 농업의 성과 및 수요 특성 4. 스마트 농업 육성을 위한 주요 과제 4.1. 플랫폼 서비스를 통한 스마트 농업 생태계 구현 4.2. 표준화를 통한 기반 경쟁력 확보 4.3. 민관 협업체계 강화 및 민간참여 활성화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일본의 스마트농업 | - |
dc.type | KREI 논문 | - |
dc.citation.endPage | 49 | - |
dc.citation.startPage | 29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page. 29 - 49 | - |
일본의 스마트농업.pdf
결과 데이터 / 465.16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