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ODA 모델」 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심화 연구(2차년도): 친환경농업
- 저자
- 허장
- 출판년도
- 2015-12-30
- 초록
- 토양과 물, 공기 등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농민과 소비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친환경농업은 개도국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하고 값비싼 화학적 투입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농촌의 소득증대를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농산물 수입개방 이후 1990년대부터 친환경농업을 도입하면서 많은 제도적 장치와 지원정책을 전개하여 개도국에게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친환경농업은 ‘한국형 ODA 모델’에서 우리나라가 비교우위가 있는 농림업 협력 프로그램의 하나로 제시되었다.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의 친환경농업 정책경험
제3장 국제개발협력 사업 추진 사례
제4장 개도국 적용을 위한 착안점
제5장 요약 및 제언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과제명
- 「한국형 ODA 모델」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심화 연구(2차년도)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보고서 번호
- D_R769_2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496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연구자료 (D)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