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AI 방역 체계 개선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지인배-
dc.contributor.other김현중-
dc.contributor.other김원태-
dc.contributor.other김형진-
dc.contributor.other서강철-
dc.contributor.other정세미-
dc.contributor.other지선우-
dc.contributor.other김재홍-
dc.contributor.other권혁준-
dc.contributor.other모인필-
dc.contributor.other손영호-
dc.date.accessioned2018-11-15T13:05:31Z-
dc.date.available2018-11-15T13:05:31Z-
dc.date.issued2017-03-30-
dc.identifier.otherP23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904-
dc.description.abstract2016년 11월 16일 전남 해남 산란계 농장과 충북 음성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였다. 이후 전남 무안, 전북 김제, 충남 천안・아산 등 서해안의 철새 도래지 및 가금류 밀집사육지역을 중심으로 AI 발생이 집중되었다. 이번에 발생한 AI는 7차로 과거 1~6차 발생과 비교할 때 최단 기간 최대 매몰처분 마릿수를 기록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I 방역 체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연구원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우리 연구원은 원내 축산 부문 전문가와 외부의 수의 부문 전문가 등 총 14명으로 T/F 팀을 구성하여 이번 AI 방역 체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AI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방역 체계를 개선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하였으나, AI 발생 예방과 확산 방지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 발생에 따른 방역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여 AI 발생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방역 체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2장 AI 발생 현황과 원인 제3장 AI 발생에 따른 파급 영향 제4장 AI 방역의 문제점과 개선 과제 제5장 AI 방역 체계 개선 방안-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AI 방역 체계 개선 방안 연구-
dc.typeKREI 보고서-
dc.subject.keywordAI-
dc.subject.keyword조류인플루엔자-
dc.subject.keyword방역-
dc.subject.keyword가축전염병-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