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KREI OA 정책
KREI 전자도서관
검색
Collections
KREI 연구자
Titles
Date
저자
KREI Repository
이슈페이퍼
이슈리포트(J3)
[FTA 10호] 체리 수급 동향과 시사점
DC(XML)
XLS (EXCEL)
RIS (EndNote)
저자
FTA이행지원센터
출판년도
2015-06-17
초록
◦ 체리의 주요 생산국(경제권)은 EU, 터키, 미국, 중국, 칠레 등으로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함
◦ 체리의 주요 수출국은 칠레, 미국, 터키, EU 순으로 모두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국가임
◦ FTA 체결에 따른 관세 철폐와 수출국 작황호조로 수입량 급증
◦ FTA 발효 이후, 미국산과 호주산 체리 수입가격 하락
◦ 2015년 체리 수입량은 한․호주 FTA 발효에 따른 관세 인하효과 및 미국 캘리포니아산 생산량 증가로 5월까지 급증
◦ 우리나라 체리 공급량은 수입량 증가와 함께 국내 생산량 증가로 매년 증가 추세
◦ 2015년 국산 체리 생산량은 주산지의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다소 감소할 전망
◦ 체리 수입선이 미국 외에 다른 국가로 확대될 가능성이 큼
◦ 국내 체리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품종 개량 및 기술지도 시급
◦ 도시민과 학생 대상의 농촌․농장 체험 관광 상품 개발 등 6차 산업화 지원 필요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보고서 번호
FTA-IR-010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88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이슈리포트(J3)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공개 및 라이선스
공개 구분
공개
Files in This Item
[FTA 10호] 체리 수급 동향과 시사점.pdf
결과 데이터 / 324.73 kB / application/pdf
Download
BROWSE
Collections
Titles
저자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