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재훈-
dc.contributor.other조원주-
dc.contributor.othe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8-11-15T13:14:38Z-
dc.date.available2018-11-15T13:14:38Z-
dc.date.issued2018-09-05-
dc.identifier.isbn979-11-6149-186-8-
dc.identifier.otherPRN16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672-
dc.description.abstract○ 물-에너지-식량자원의 희소성 및 수급불안정으로 인해 자원 간 상호의존성이 커지고, 개별적 자원 관리 정책의 불확실성과 의도치 않은 정책효과 발생으로 자원의 통합적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 195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 바이오 연료 수요 증가, 도시화, 세계화, 기후변화 등이 자원의 사용량 증가 및 안정적 수급을 저해– 각 자원의 개별적 이용 혹은 비용 효율적 기술의 도입은 다른 자원의 수요나 공급에 영향을 미침. ○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는 통합적 자원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도구로서 제시된 개념이며, 맥락(context) 특이적인 특성을 가짐.– 넥서스와 관련된 논의는 지속되고 있으나, 명확한 개념은 현재까지 정립되어 있지 않음.–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에 따라 넥서스를 구성하는 요소와 상호연관관계, 영향을 주는 외부요인이 다름.– 기존의 자원 관리와는 달리 넥서스의 경우 각 자원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자원별 변동요인에 따른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달성을 가능하게 함.○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는 국내 농업생산구조의 변화로 인해 도입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개념적인 부분과 관련된 논의에 치중, 개별 부처 중심의 자원 정책 수립, 자료 부족 및 자료 간 불일치성이 도입 한계 요인으로 지적–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행할 관리주체 혹은 자원 관리와 연관된 제도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 국내 농가수준 자료는 지속가능성 혹은 농업자원 관리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고, 자료 간 시간적·공간적 불일치로 결합이 어려움.○ 향후 물-에너지-식량 넥서스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생태물리학적 모형과 농업부문모형과의 연계, 학제와 관련 기관 간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데이터 구축 및 이용자 친화적인 정보 제공 노력이 필요– 생태물리학적 모형과 경제학적 모형을 활용한 자원 제약하에서의 자원 최적 배분 문제 분석,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일관성 있고 활용도 높은 데이터 구축, 정책 입안자 및 이해당사자가 활용하기 쉬운 분석결과 제공이 이에 해당-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물-에너지-식량 넥서스의 개념 및 적용 2.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적용의 필요성 및 장애요인 3.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적용을 위한 연구 방향-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업자원 관리를 위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구축방안-
dc.typeKREI 이슈리포트-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Files in This Item:
농업자원 관리를 위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구축방안.pdf (1.51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