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농산어촌 신활력 모델 개발 및 확산 방안 연구
-
저자
- 김광선; 송미령; 심재헌; 서형주
-
출판년도
- 2018-09-30
-
초록
- 지난 수십 년간 농촌이 위기라는 말이 끊이지 않았다. 농촌의 주요 산업 활동인 농업의 쇠퇴와 더불어 농촌의 인구감소, 경제활동 부족, 정주환경 취약 등은 농촌 위기의 원인으로 늘 거론되는 단골메뉴다. 그러나 최근 농촌과 관련된 또 다른 메뉴가 형성되고 있다. 위기와 관련된 단골메뉴가 아닌 희망 섞인 새로운 기회의 메뉴이다. 귀농·귀촌 증가와 이로 인한 농촌의 인구 감소세 완화, 농촌의 새로운 경제활동 증가, 농업·농촌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인식 증대 등이 이에 포함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여 농산어촌의 활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일환으로 농촌성을 지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농산어촌의 특화산업을 육성하면서 인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고 정책 간 연계를 도모하는 정책모델로서 농산어촌 활력증진 다이아몬드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 동 모델을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목차
- 제1장 연구 개요
제2장 신활력사업의 주요 내용과 성과 및 한계
제3장 신활력 플러스사업의 주요 내용과 특성
제4장 선진국의 농산어촌 활력증진 관련 정책
제5장 농산어촌 특화자원을 활용한 활력증진 국내외 사례
제6장 농산어촌 신활력에 대한 인식과 정책 수요
제7장 농산어촌 신활력 모델 구축과 확산 방안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과제명
- 농산어촌 신활력 모델 개발 및 확산 방안 연구
-
주제어
- 농산어촌 신활력 모델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727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