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찬희-
dc.contributor.other김태영-
dc.date.accessioned2020-11-06T16:40:08Z-
dc.date.available2020-11-06T16:40:08Z-
dc.date.issued2020-09-30-
dc.identifier.isbn979-11-6149-400-5-
dc.identifier.otherP26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5463-
dc.description.abstract2020년 5월 공익직불제가 도입되면서 농정 틀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가운데, 새로운 시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2018년 해남군을 필두로 농민수당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가 늘어나고 있다. 동시에 기본소득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그 시발점으로 농민기본소득이 제기되고 있다. 농업·농촌에 대한 수요 변화 대응과 농가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문제가 동전의 양면처럼 떼어놓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제도 개편은 중요하다. 그럼에도 이러한 변화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감과, 자칫 제도 간 상충이 생기거나 중복 지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뒤섞여 있다. 따라서 최근 논의의 중심에 있는 세 가지 제도의 실태와 특징을 세밀하게 분석한 뒤, 주요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고, 앞으로 어떻게 소득 직접지원 제도 관계를 정립하면서 정책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일지에 대한 논의의 초석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는 농가 소득 실태를 분석하여 소득 직접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세 제도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특성을 비교한 뒤, 주요 쟁점과 과제를 제기하여 향후 구체적으로 논의를 이어갈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2장 농가 소득 문제와 직접지원 필요성 제3장 공익직불제·농민수당·기본소득 비교 분석 제4장 주요 쟁점 분석 제5장 결론-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가 소득 직접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dc.typeKREI 보고서-
dc.relation.isPartOf농가 소득 직접 지원 제도 실태와 과제-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Files in This Item:
P261.pdf (3.41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