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유찬희 | - |
dc.contributor.other | 김태훈 | - |
dc.contributor.other | 하인혜 | - |
dc.contributor.other | 김정호 | - |
dc.contributor.other | 장민기 | - |
dc.date.accessioned | 2021-04-28T16:40:04Z | - |
dc.date.available | 2021-04-28T16:40:04Z | - |
dc.date.issued | 2020-12-30 | - |
dc.identifier.isbn | 979-11-6149-449-4 | - |
dc.identifier.other | D_R921-1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6411 | - |
dc.description.abstract | 미래상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있다. 한편에서는 스마트팜이나 정밀농업 등 고도화된 농업이 미래성장동력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성장 중심에서 환경·생태·사회까지 고려한 지속가능한 농정을 강조한다. 농업 및 농촌 인구 과소화와 고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와 농촌 재생의 가능성에 힘을 싣는 목소리도 함께 들을 수 있다. 각각의 주장이 일리를 지니고 있고, 이러한 문제 의식은 결국 농업구조 변화라는 주제 속에 스며있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 의식과 목적을 가지고 2년 동안 추진되었다. 1년차 연구에서는 농업구조 변화 경향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앞으로 지향해야 할 농업구조 변화 방향과 추세를 따라갔을 때 예상되는 모습을 각각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이상적인 모습과 예상되는 상황 간 차이를 야기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농업구조 관련 정책이 이러한 격차를 좁히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는지, 그리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진단하였다. 이상 논의를 종합하여 농업구조 전환의 방향과 대응 과제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자료집에서는 그동안 추진된 농업구조 관련 정책을 보다 상세히 분석·평가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영농 규모화 관련 구조 정책군제2장 자본집약화 관련 구조 정책군제3장 농업 인적 자원 관련 구조 정책군제4장 겸업화 관련 구조 정책군제5장 조직화 관련 구조 정책군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업구조 관련 주요 정책군 자료집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relation.isPartOf | 농업 구조변화 전망과 대응 과제(2의2차년도)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